윤석열 “차기 정부에 청년들 대거 참여시키겠다”

입력 2021-12-18 13:22 수정 2021-12-18 14:13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청년보좌역 공개모집 현장을 방문해 면접자들을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030 세대를 차기 정부 주요 보직에 대거 참여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윤 후보는 “(청년 세대가) 정부를 과학적으로 운영하는 첨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청년보좌역 공개모집 면접을 진행했다. 원희룡 중앙선대위 선대위 정책총괄본부장, 장예찬 여명 공동 청년본부장 등이 면접관으로 참석했다. 윤 후보는 면접자 대기실과 면접장에 들러 지원자들을 응원했다.

윤 후보는 “차기 정부로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구상하고 있다”며 “가장 디지털화된 청년들이 정부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정부 조직의 디지털 전환, 플랫폼화가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가 정부를 맡으면 모든 부처에 아주 많은 (청년) 인원을 참여시킬 생각이다”라고 약속했다.

그는 “(청년) 여러분들도 코딩과 알고리즘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하셔라”며 “필요한 교육은 국가가 다 책임지고 지원하겠다”고 격려했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상과 관련해 윤 후보는 “어머니들이 아이를 위해 어떤 어린이집을 가야 하고 보육 지원신청을 해야 하는지 (알아볼 때도) 무수히 많은 사이트를 찾아봐야 한다”며 보육 플랫폼 통합을 강조했다. 코로나 19와 관련해서도 “(확진자의) 동선, (환자의) 기저질환, 병상 수급 문제, 지역별 환자 발생 현황이 전부 (정부의) 데이터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후보는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디지털 플랫폼 정부가 되면) 30대 장관이 자동으로 많이 나올 것”이라며 “인사 시스템 역시 ‘그 사람 잘하더라’ 하는 추천 문제가 아니라 데이터화해서 도출된 결론에 따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과 같이 청년을 주요 보직에 임명할 시 ‘공정’ 논란을 일으킬 우려에는 “(박 비서관 논란은) 국민들이 볼 때 하나의 쇼로 보였기 때문에 그랬던 것”이라 선을 그었다. 이어 “디지털 플랫폼 정부가 국민들의 삶을 향상시킨다고 전부 생각하면 25세 청년이 주요 보직에 임명된다고 해서 뭐라 할 분이 없을 것”이라 덧붙였다.

윤 후보는 이날 2030세대의 표를 얻기 위해 청년을 기용하는 것이 아님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청년보좌역 공개 모집은) 괜히 2030표를 받으려는 게 아니라 디지털 플랫폼을 구상하고 있기 때문”이라 설명했고, 면접장에서도 “막연하게 2030표를 받으려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