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군산의료원 노조가 임금·직제 개편 등을 두고 사용자 측과 합의에 이르는 데 실패했다며 17일 파업에 돌입했다. 전국의 코로나19 전담병원 중 첫 파업 사례다. 필수인력은 제외한다는 방침이지만 군산의료원이 도내 코로나19 병상 4분의 1을 맡고 있는 만큼 여파에 대해 우려가 제기된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군산의료원지부는 전날 오후 2시부터 9시간가량 진행된 의료원 사측과의 3차 조정회의가 파행했다고 17일 밝혔다. 노조는 앞선 교섭에서 핵심 요구로 임금·직제 개편을 내걸었다. 1998년부터 2013년까지 원광대병원에 위탁 운영된 탓에 전국 34개 지방의료원 중 유일하게 다른 임금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개선하라는 취지였다. 아울러 공무직 처우개선도 요구했다.
당초 예고한 17일까지도 양측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며 노조는 전면 파업에 돌입하게 됐다. 이들은 “군산의료원은 올해 100억원을 포함해 지난 3년간 꾸준히 흑자를 기록해왔다”며 “그런데도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임금·직제 개편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사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전북도에도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군산의료원은 전북 내 코로나19 병상의 25%가량을 담당하고 있는 코로나19 전담병원이다. 응급의료 등 필수 인력은 파업에서 제외됐지만 연일 위중증 환자가 증가세인 만큼 어느 정도의 코로나19 대응 지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지난 2년간 코로나 전담병원은 전쟁터였다”며 “비용 때문에 도민의 건강을 방기하는 전북도와 군산의료원 사측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