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반영 못한’ 제주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조정 불가피

입력 2021-12-16 18:17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보급 계획이 하향 조정돼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30년까지 제주를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들겠다는 제주도의 계획(CFI 2030)에도 수정이 필요해졌다.

제주도가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주한 ‘제주계통 안정화 방안 및 재생에너지 적정 규모 산정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설비 도입에 완급 조절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0월 말 기준 도내 태양광 발전설비는 510㎿, 풍격 발전설비는 295㎿ 규모다.

2030년까지 제주를 탄소없는 섬으로 만들겠다는 제주도의 ‘탄소없는 섬 2030’ 계획에 목표치로 제시된 설비 규모의 각각 36%(태양광)와 12.6%(풍력)에 해당한다.

제주도가 2012년 ‘탄소없는 섬 2030’ 정책을 발표한 이후 재생에너지 설비 확대에만 집중하면서 발전량이 전력망 수용 능력을 초과해 출력이 제한되는 출력제어 횟수는 매해 늘고 있다.

풍력 발전의 경우 2015년 처음 3회의 출력 제어가 발생한 이후 지난해엔 77회까지 늘었다. 풍력발전량 대비 출력제어량의 비중도 같은 기간 0.04%에서 지난해 3.24%로 증가하고 있다.

연구진은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태양광과 풍력 발전시설 도입 목표를 단기적으로 낮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현재 제주도의 재생전력 소화량을 고려할 때 2022년 태양광 발전량은 기존 목표(탄소없는 섬 2030)치인 659.9㎿에서 600㎿로, 풍력 발전량은 975㎿에서 431㎿로 절반 이상 하향 조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는 제주와 전남 완도를 연결하는 제3 해저 연계선이 2023년 12월 준공돼 전력의 역전송이 제한적으로 이뤄질 것을 전제로 한 수치다.

제3연계선이 가동될 예정인 2023년에는 태양광 발전 목표량을 기존 780.3㎿에서 702.2㎿으로, 풍력 발전은 1015㎿에서 550㎿으로 줄이는 것을 적정 규모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도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인·허가에 속도 조절이 필요해졌다.

연구진은 “제주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제주도의 단기 보급목표를 조정하고 잉여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