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김에 쭉? “재택근무 사업체 75.2%, 코로나 끝나도…”

입력 2021-12-16 12:29 수정 2021-12-16 14:29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재택근무를 시행한 사업체 10곳 중 7곳은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계속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고용노동부가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개최한 ‘2021년 고용영향평가 결과 발표회’에서 공개된 결과를 보면 올해 재택근무 시행 사업체 620곳 중 48.4%가 코로나19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축소해서 계속 시행’하겠다고 답했다. 또 26.8%는 ‘현재 수준으로 계속 시행’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코로나19 종결 후 중단’한다는 응답은 11.3%에 그쳤다.

현재 수준의 재택근무를 계속 시행하겠다고 응답한 사업체의 53.6%는 재택근무가 사무실 근무에 비해 생산성에 큰 차이가 없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20.5%는 ‘경영진의 제도 시행 의지’를, 18.7%는 생산성이 향상된 경험을 이유로 들었다.

재택근무를 시행한 기업의 경우 2019∼2020년 고용증가율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2∼3% 높게 나타났다.

근로자의 경우 3분의 2 이상이 코로나19 사태 종식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계속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젊은 층이나 돌볼 자녀가 있는 가정의 기혼 근로자의 재택근무 선호도가 높았다.

인공지능(AI)을 도입한 기업 100곳을 상대로 이뤄진 고용영항평가에서는 56%(복수응답)가 ‘근로자 업무 보조’를 위해 AI를 도입했다고 답했다. 40%는 ‘근로자가 못하는 일 수행’, 39%는 ‘인건비 외 비용 절감’, 29%는 ‘인건비 절감을 위한 근로자 대체’ 등의 사유를 댔다.

이날 발표회에서는 올해 고용영향평가 과제 20개 중 5개 평가 결과가 공개됐다. 관련 결과 보고서는 관계 부처나 지방자치단체 등에 전달돼 정책 개선·제도 운용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