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는 15일 청소년 및 학부모를 직접 만나 청소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둘러싼 여러 논란에 대해 설명하고 백신 접종을 독려했다.
김 총리는 이날 서울 성동광진교육지원청에서 청소년 접종과 관련해 현장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이재갑 한림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가 참석했다. 또 성동지역 중고등학생 및 학부모 10명, 김규태 서울시교육청 부교육감 등이 자리했다.
김 총리는 청소년 백신 접종과 관련한 안정성 우려에 대해 “코로나19 백신은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해 세계 유수의 전문기관이 안전성을 인정했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미 청소년 접종을 시행하여 그 효과가 하나하나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방역패스 적용 논란과 관련해서는 “백신 접종을 강제하기 위한 것이 결코 아니다”라며 “취약 시설에서의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접종자와 미접종자 모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상반응에 대해서도 보다 강화된 대응을 통해 안심하고 접종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며 청소년의 적극적인 접종 참여를 독려했다.
또 김 총리는 간담회 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혹시 부작용이 있지 않을까 노심초사하시는 마음을 저도 세 딸아이를 키운 아버지로서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청소년 확진 비율이 성인보다 훨씬 높다”고 청소년 백신 접종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와의 싸움에서 많은 고비가 있었지만, 국민 여러분의 협조가 아니라면 결코 여기까지 올 수 없었다”며 “청소년 백신 접종도 정부 혼자 앞서 달려가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청소년 방역패스의 적용시기와 운영 방법에 대해 오해와 걱정이 해소될 수 있도록 오늘처럼 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청취하고 소통해 방침을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총리실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에서 학부모와 학생들은 전면등교 조치 유지와 이를 위한 백신접종의 필요성에는 대부분 공감을 표했지만, 이상반응에 대한 걱정과 이와 관련 정부의 상세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아울러 백신패스 적용이 백신접종을 강제하고, 학원에 적용되는 이유 등에 대해서도 설득력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건강상 이유로 접종이 어려운 경우에도 배려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에 대해 유은혜 장관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접종의 안전성, 효과성, 해외사례 등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