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부스터샷)을 독려하기 위한 인센티브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여러 의견을 참고해 추가 인센티브 제공이 가능할지 검토해보고 있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기본적으로 2차 접종 완료자 중심 방역패스를 도입해 여러 인센티브가 제공되고, 유효기간이 6개월이라는 점에서 3차 접종 완료자에 대해서도 인센티브가 연장 제공되는 측면이 있다”며 “이런 틀 안에서 부가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될 수 있을 지 질병관리청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전날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백신 추가 접종률이 너무 낮은 것과 관련해 당에선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정부에) 적극적으로 얘기했다”고 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재정당국의 공감대도 이끌어냈다고 전했다.
정치권에서 이런 발표가 나온 직후 방역 당국은 “준비하는 내용이 없다”며 선을 그은 바 있다.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 역시 전날 기자단 설명회에서 “추가 접종자에 대한 백신 무상 공급 외에 다른 인센티브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하루 만에 부스터샷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방안 검토 발언을 내놓은 것은 그만큼 3차 접종률을 끌어올리는 것이 시급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겨울철이라는 계절적 요인에 오미크론 변이까지 더해져 대유행이 우려되는 만큼 3차 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세와 관련해 정부는 사적모임 인원 축소와 영업시간 제한을 검토 중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현 방역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조치를 시행하고자 한다”며 정부가 추진해 온 단계적 일상회복을 사실상 중단하고 방역조치를 강화할 것을 시사했다.
방역 강화 조치는 오늘 17일 발표되고 연말까지 2주간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6명인 수도권의 사적모임 허용인원을 4명으로 줄이고, 시간제한 없이 운영되는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밤 12시 또는 밤 10시 등으로 단축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