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전국 지자체 첫 패류독소 검사… 수산물 안전 강화

입력 2021-12-15 13:42

경남도는 15일 통영에서도 패류(조개류)독소를 분석할 수 있는 수산물안전관리센터가 문을 열고 업무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도 수산안전기술원 내에 있는 수산물안전관리센터는 지난 2019년부터 3년간 총 60억원을 들여 통영 미수해안로에 지상 3층(전체면적 2270㎡) 규모로 지었다. 1층은 중금속분석실·병성감정실·센터사무실, 2층은 항생물질분석실·시료농축실, 3층은 패류독소·미생물배양 분석실이 있다.

센터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처음으로 패류독소를 검사하는 시설을 갖춰 2023년부터 패류독소 분석에 들어간다. 또 일본 원전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불안감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산물 안전성 검사 기능을 강화하게 됐다.

패류독소는 봄철 진주담치 등 조개류가 유독성 플랑크톤을 먹어 체내에 독성이 쌓여 가열해도 독성이 소멸하지 않아 사람이 먹으면 마비·설사·기억상실증을 일으킨다. 마비성 패류독소(허용기준치 ㎏당 0.8㎎ 이상)가 있는 조개류를 먹었을 때는 사망할 수 있다. 경남에서는 1984년 1명, 1986년 2명, 1996년 2명이 패류독소 중독으로 사망한 사례도 있다.

그동안 패류독소 검사·분석은 부산에 있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전담하고, 지자체는 시료채취·금지명령 업무를 해왔다. 채취한 시료는 부산까지 운송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패류독소 분석 결과 회신에 1~2일이 걸려 어민은 신속한 검사 결과를 요구해 왔다.

도 수산안전기술원은 도내에서 생산하는 수산물을 무작위로 거둬들여 중금속·항생물질·방사능 등 60개 항목을 검사하고 있다. 기술원은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수산물의 폐기 처리나 출하 연기를 결정해 어민들에게 알려준다.

기술원은 내년부터 방사능 분석장비를 2대로 늘리고 전담 분석인력을 5명에서 7명으로 확충해 수산물을 수시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도는 현재 연간 150건 정도인 검사 수를 300건으로 배 이상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종원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수산물안전관리센터 개청으로 도내 수산물 안전성 검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생산단계 수산물 안전관리가 대폭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도내 어업인들이 생산한 수산물을 안심하고 드실 수 있도록 수산물 안전성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