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명 중 1명이 가입한 ‘구삐’…‘내 손 안의 국민비서’ 역할 톡톡

입력 2021-12-14 16:30

국민 4명 중 1명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안내와 국민지원금 지급 여부 등을 알려주는 국민비서 ‘구삐’ 서비스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삐’는 지난 3월말 행정안전부가 출시한 개인맞춤형 인공지능(AI) 알림서비스다. 백신 접종 관련 안내를 비롯해 지난 9월 국민지원금 지급대상 여부를 사전에 알려주는 등 코로나19 관련 행정서비스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4일 행안부에 따르면 국민비서 ‘구삐’ 가입자는 지난달 24일 기준 총 1369만명에 달한다. 지난 8월초만 해도 가입자가 64만명에 그쳤지만, 9월 들어 1인당 25만원의 국민지원금 지급이 가시화되고 백신 접종률도 높아지면서 가입자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지금까지 백신접종 정보 2억8137만건, 국민지원금 알림 메시지 1423만건을 발송했다. 그 외에도 국가장학금 신청이나 교통 과태료 등 생활밀착형 정보 2720만건도 발송하며 ‘내 손 안의 국민비서’ 역할을 톡톡히 했다.


기획단계부터 민간기업과의 협업을 강조한 것도 국민비서 서비스가 빨리 안착한 이유로 꼽힌다. 원래 행정안전부에서는 구삐를 개발할 때 싱가포르의 24시간 가상비서 서비스 ‘Ask Jamie’를 벤치마킹했다. Ask Jamie는 30개 이상 정부기관 웹사이트에 챗봇 시스템을 구축해 간단한 질의응답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한 서비스다.

‘구삐’ 서비스는 영역이 더 확장됐다. 우선 주민등록 데이터베이스 등 빅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알림과 챗봇 시스템을 설계했고, 알림 방식도 정부 웹사이트나 문자메시지뿐 아니라 네이버앱이나 카카오톡, 토스 앱으로도 받아볼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였다.


행안부는 지난 3월 각각의 앱을 운영하는 기업들과 개인정보 처리 관련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김다윤 행안부 공공지능정책과 사무관은 “국민지원금의 경우 지급대상 여부에 그치지 않고 신청시기나 방법, 언제까지 쓸 수 있는지 구체적 정보를 국민비서가 알려줬다”며 “네이버앱이나 카카오톡, 토스앱에서도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한 게 가입자가 빨리 늘어난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구삐는 앞으로 활동 폭을 더 늘려갈 계획이다. 행안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휴면예금 알림, 국세 고지 발송 알림 등 서비스 30종을 추가하는 한편, 챗봇 상담서비스의 경우에도 주민등록 민원 등 서비스 11종을 확대할 예정이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