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부인 김건희씨가 ‘허위 경력’ 의혹에 대해 낸 반론이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씨가 “게임산업협회 관계자들과 친하게 지냈다”고 발언한 데 대해 전직 게임산업협회 직원이 SNS에 정면 반박하는 글을 올린 것이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여권 인사들은 이를 공유하며 김씨 관련 의혹에 대한 문제 제기에 불을 지폈다.
앞서 YTN은 김씨가 2007년 수원여대 겸임교수 지원서에 ‘2002~2005년 한국게임산업협회 기획팀 기획이사 재직’이라고 적은 건 허위라고 보도했다. 게임산업협회는 2004년 6월 설립됐으므로 그 전에 해당 직함이 존재할 수 없고, 김씨 재직 증명서가 게임산업협회 설립 이전 날짜로 발급된 경위를 확인할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김씨는 지난 13일 YTN과 인터뷰에서 “게임산업협회와 같은 건물에 있으면서 협회 관계자들과 친하게 지냈고, 이들을 자신이 몸 담았던 학교 특강에 부르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前 게임산업협회 관계자 “같이 근무하거나 본 적 없다”
이와 관련해 게임산업협회의 전신인 게임산업연합회에서 2002년부터 사무국장으로 재직했던 관계자는 14일 페이스북에서 김씨의 해명 발언을 직접 반박했다.게임산업협회에서 정책실장·사무국장으로 근무했던 최승훈씨는 이날 “김건희씨의 게임산업협회 재직 관련 허위 경력과 관련한 사실 관계를 제 기억에 따라 아래와 같이 확인한다”며 “사생활 문제라 보아 어물쩍 넘어갈 일이 아닌 것 같다. 게임산업협회와 게임인들의 명예에 관한 일”이라며 반박 입장을 밝혔다.
최씨는 “게임산업협회의 전신인 게임산업연합회에서 2002년부터 사무국장으로 재직하다가 2004년 게임산업협회가 설립되면서 이후 5년간 협회에서 정책실장과 사무국장으로 재직했는데”라며 “건희라는 분과 함께 근무한 적은 물론 본 적도 없다”며 김씨의 인터뷰 발언을 정면 반박했다.
그는 “김건희씨는 같은 건물에 있으면서 협회 관계자들과 친하게 지냈다고도 말하는데, 이 기간 동안 전신인 연합회는 2002년~2004년 화곡동의 독립건물(회장의 개인소유 건물), 2004년 역삼동 스타타워(NHN 사옥 내부), 2005년 이후 2007년 사이에는 교대역 법조타운에 사무실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화곡동과 역삼동에서는 ‘같은 건물에서 친하게 지냈다’는 말이 애초에 성립할 수가 없고, 법조타운 시절에서도 같은 건물에 있는 누군가가 협회 직원들과 친하게 진했던 기억이나 개연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이어 “게임산업연합회 시절에는 협회 직원이 최대 4명이었고, 게임산업협회도 초창기에 직원 수가 10명 미만의 작은 조직이었으며 직원들은 가족처럼 친하게 지냈다”면서 “김건희씨가 이력서에 적은 바로 그 당시에 재직했던 사람으로써 김건희씨가 이력서에 적었던 게임산업협회 관련 경력과 인터뷰에서 해명한 내용은 제가 기억하고 있는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분명하게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씨는 “김건희씨가 취업을 위해 대학에 제출한 이력서에 게임산업협회 명의의 재직증명서가 첨부되어 있다는 보도가 있는데, 이 문서의 진위 여부가 반드시 확인돼야 한다”며 “게임산업협회가 근무하지도 않은 자에게 재직증명서나 발급하는 이상한 단체로 비춰지는 것은 그 당시 협회에 근무했던 제 자신과 협회 모두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불명예”라고 밝혔다.
조국도 공유…우상호 “명백한 사문서 위조 범죄”
조 전 장관이나 우 의원 등은 최씨의 글을 공유하면서 김씨 관련 의혹을 제기했다.조 전 장관은 “최승훈 게임산업협회 정책실장/사무국장의 증언”이라고 페이스북에 적었고. 우 의원은 “윤석열 후보는 해당 이력이 허위가 아니라 했지만 한국게임산업협회 설립 당시 재직했던 실무자의 증언이 있다”며 “누가 봐도 김건희씨가 거짓말을 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김건희씨는 위조된 이력으로 교수에 임용됐다. 이는 명백한 사문서 위조 범죄”라고 주장하면서 “윤 후보가 검찰총장 시절 한 공직자의 가정을 분쇄시키는 데 적극 활용했던 바로 그 죄목”이라고 말했다. 이는 조 전 장관 일가의 ‘동양대 표창장 위조 의혹’ 등에 대한 수사를 언급한 것이다.
우 의원은 “윤 후보는 배우자의 범죄 행위에 대해 전직 검찰총장으로서 어떤 입장인지 밝혀야 할 것”이라며 글을 마무리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