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탄소중립’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탄소중립이 글로벌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분야를 먼저 선점해 지역 발전을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대구시는 14일 엑스코에서 ‘대구시 2050 탄소중립 전략 시민보고회’를 열고 탄소중립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제시된 대구시의 탄소중립 비전은 ‘시민중심! 탄소중립 선도도시 대구’다. 시민과 지역사회가 주도해 탄소중립 전략을 설계하고 이를 실행해 대구시를 탄소중립 선도도시로 만들겠다는 의미다. 대구시는 앞서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재하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탄소중립 시민협의체’를 발족해 논의를 이어왔다.
비전과 함께 8대 분야 8G(Green) 주요 전략도 공개했다. 탄소중립 녹색성장 특화(Green Growth), 탄소중립 생활문화확산(Green Lifestyle), 지속가능 자원 선순환(Green Cycle), 그린숲 저탄소Net 조성(Green Forest & Farm), 탄소중립사회로의 혁신(Green Innovation), 그린에너지 전환(Green Energy), 그린모빌리티 구축(Green Mobility), 탄소중립 그린시티 조성(Green City)이 핵심이다.
대구시는 탄소중립 사업을 통해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943만t) 대비 45% 감축, 2040년까지 70% 감축을 달성하고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대구시는 2011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기후변화대응 계획을 수립해 이행했고 지난해 ‘대구시 2030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자체 수립했다. 또 탄소배출권,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등을 통해 지금까지 440억원의 세입을 창출하는 등 그동안 기후변화대응에 발 빠르게 대처했다.
경북도도 탄소중립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도는 쾌적한 도시녹색환경 조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14개 시·군에 도시숲 22곳을 조성해 경북형 그린뉴딜정책 성공사례로 삼을 방침이다.
경북도는 먼저 추진한 포항 등 6개 시·군의 10개(13.5㏊) 도시숲 조성 사업을 이달 안으로 완료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11개 시·군에 15곳의 도시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2018년부터 시작한 구미 도시바람길숲 조성 사업을 내년에 마무리하고 경주에 또 다른 도시바람길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저탄소 생활 분위기 조성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저탄소 식문화 확산 및 ESG 실천을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