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 발언에 대해 “한국 정부의 결정”이라고 말했다.
잘리나 포터 국무부 부대변인은 13일(현지시간) 전화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 발언에 대한 미국 정부 입장을 묻자 “올림픽 참여에 대한 한국 대통령 결정은 그들의 몫”이라며 “미국이나 다른 나라 정부가 대신 내리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포터 부대변인은 또 “(외교적 보이콧을 발표하기 이전) 우리는 동맹 및 파트너와 최선의 정보에 입각한 결정에 대해 분명히 상의했고, 지금은 그들을 대변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에서의 지독한 인권 유린과 잔학 행위를 근거로 이 결정을 내렸고, 이를 동맹과 파트너에 알렸다”며 “이것이 이 프로세스가 작동한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도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결정하면서 다른 나라의 동참 여부에 대해 “각 나라가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호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 미국과의 기밀정보 동맹체 ‘파이브 아이즈(Five Eyes)’ 국가들은 모두 외교적 보이콧 동참을 선언했다. 일본 정부도 장관급을 베이징에 보내지 않는 방식으로 동참한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대중국 견제 입장을 분명히 한 국가들이 모두 참여한 셈이다.
주요 7국(G7) 국가 중에선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보이콧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프랑스는 호주가 미국으로부터 핵추진 잠수함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미국과 갈등이 불거졌고, 이탈리아는 중국과의 경제협력 범위가 넓다.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각각 차기 하계·동계 올림픽 개최국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전날 호주에서 정상회담 후 진행한 기자회견 도중 외교적 보이콧 동참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한국 정부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 미국을 비롯해 어느 나라로부터도 (외교적 보이콧) 참가 권유를 받은 바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포터 부대변인은 이날 미국과 중국, 북한 모두 종전선언에 대해 원칙적 찬성 입장을 밝혔다는 발언에 대해 “우리는 북한과 외교 및 대화를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달성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실질적 진전을 위해 조정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으로 북한과의 관여를 계속해서 모색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만 답했다.
또 “우리는 어떤 전제 조건도 없이 북한과 만날 준비가 되어 있고, 북한이 접촉에 긍정적으로 응하길 희망한다. 이를 위해 한국 및 일본, 우리 동맹과 긴밀한 논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공석 상태인 주한미국대사 임명과 관련해선 “현재로선 어떤 추가적 인사도 없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