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코로나19 방역상황이 더 악화될 경우 꺼낼 수 있는 특단의 대책과 관련해 “전면봉쇄, 록다운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특단의 대책을 이번 주 중 발표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한다”며 “아직 그런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가능한 특단의 대책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 몇 가지 조치를 엮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김 총리는 13일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위중증 환자를 감당해낼 수 있는 우리 의료 대응능력이 되는지 여부”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특단의 대책과 관련해 “도저히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생각되면 국민에게 사정을 말씀드리고 조치를 해야 되겠지만 아직 그런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가들은 하루가 급한데 왜 안 하느냐고 하지만 국민들이 2년 동안 견뎌내준 것,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 피해가 집중된 것을 고려 안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향후 특단의 대책에 영업시간 제한도 포함될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에 “쓸 수 있는 수단 중에 하나가 되겠지만 아직까지 그런 결정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외국에서 썼던 록다운은 우리 사회 특성상 어렵다”며 “전면봉쇄는 우리 사회가 감당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부터 방역패스 계도기간이 종료되고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되는 것과 관련해 김 총리는 “국민께서 협조해주신 성과가 무산되지 않게 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라고 말했다. 청소년 백신 접종과 관련해서는 “지난번 고3 수험생들 접종 때 거의 후유증이 없었다”며 “이 문제는 정확하게 과학의 영역이다. 어머님들께서 너무 과도하게 두려워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또 독서실 등 청소년 방역패스가 다음 해 2월부터 시행 예정인 것과 관련해서는 “섣불리 날짜 조정 얘기가 나올 때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방학 중에 청소년들에 대한 접종을 계속 독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독서실 등 방역패스를 예정대로 시행하겠다는 뜻을 강조한 것이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