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한 가운데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발표할 것인지 관심이 쏠린다. 앞서 정부는 신규 확진자가 7000명대로 올라서자 특단의 방역대책을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현재로선 시설 운영제한, 사적모임 제한 등을 포함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방역대책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 확산세는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1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8일부터 전날까지 신규 확진자는 5일 연속 7000명대 안팎을 나타냈다. 전날 0시 기준으로는 6689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검사 건수의 감소 영향을 받는 주말임에도 신규 확진자가 크게 줄지 않은 것이다.
변이 바이러스의 전파도 문제다. 지금껏 국내에선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으로 자리를 잡았으나 최근 오미크론 변이가 유입돼 전파 우려가 큰 상황이다. 국내 오미크론 확진자는 전날 기준 누적 90명이 됐다. 오미크론은 기존 변이보다 빠른 전파력을 가진 게 특징이다.
위중증 환자 증가에 따라 병상 부족현상이 일어나는 것도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고민하는 원인 중 하나다. 재원 중 위중증 환자는 전날 역대 최다인 894명을 기록했다. 지난 10월까지 300명대를 유지했던 위중증 환자는 지난달 500명대, 이달 들어 800명대로 급격히 뛰어올랐다. 수도권의 병상은 지난 11일 오후 5시 기준 86.5%의 가동률을 보여 사실상 포화 상태가 됐다.
이에 정부는 ‘특단의 조치’를 고심하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 10일 “이른 시일 내에 우리 공동체가 처한 위기 국면의 반전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정부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포함한 특단의 방역대책을 결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재도입을 예고한 것이나 다름없다.
정부는 지난달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조치에 따라 느슨한 방역체계를 적용했다. 사적모임 인원 제한은 물론 시설 영업 제한도 풀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지자 현재는 사적모임 인원을 수도권 6명, 비수도권 8명으로 허용하고 있다.
특단의 조치가 나올 경우 사적모임 인원은 과거처럼 4~5명 이하로 축소되고, 밤 9~10시 이후 대다수 시설의 영업 제한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 3차 대유행 당시 이처럼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큰 방역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