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2% “재택치료 잘 안 될 것”…여당층도 48% 비관

입력 2021-12-10 13:26
지난 8일 중랑구 서울의료원 재택치료관리 상황실에서 의료진이 재택 치료 중인 코로나19 확진자 모니터링 업무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6명은 코로나19를 재택치료하도록 한 정부 방침에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당층 지지층에서도 부정적 평가는 절반 가까이 나왔다.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급증했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한국갤럽은 지난 7~9일 만 18세 이상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재택치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잘 이뤄질 것’이라는 의견은 29%, ‘그렇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은 62%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6일 재택치료 대상자를 모든 코로나19 확진자로 확대하고 위중증 환자 등 예외적인 경우에만 시설입소·입원할 수 있도록 하는 재택치료 의무화 방침으로 전환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특히 여당지지층이나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긍정 평가한 사람 중에서도 재택 치료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 대목이 주목을 받았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40%는 재택치료가 잘 이뤄질 것으로 봤고 48%는 그렇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 코로나19 정부 대응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사람의 47%가 재택치료에 부정적이라고 밝혀 긍정 답변(42%)을 앞섰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서는 한 달 전에 비해 부정적인 평가가 늘어났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 44%가 ‘잘하고 있다’고 답한 반면, 47%는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긍정률은 지난 11월 대비 13% 줄었고, 부정률은 15% 증가했다.

부정평가 이유로는 ‘방역·확산억제 못함’ 지적이 1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상회복/위드코로나 정책 우려’(14%), ‘늦장 대응’(13%), ‘일관성 없음’(10%) 등의 부정 답변이 있었다. 긍정평가 이유는 ‘백신 확보/수급’ 비중이 20%로 가장 높았고 ‘방역/확산억제’(15%), ‘다른나라 보다 잘함/세계적 모범’(11%) 등으로 나타났다.

국민들 절반 가량은 ‘앞으로도 계속 마스크를 써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에 일상회복이 될 것이라 예상한 국민은 23%에 그쳤고, 내후년 이후가 될 것이라고 답한 국민은 21%였다.

나머지 46%는 코로나19 전과 같은 일상회복은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 비관적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부정적 시각은 지난달 30%에서 이달 46%로 늘었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 ±3.1%p(95% 신뢰수준)에 응답률은 16%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