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이후 코로나19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0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다음 주 상황이 꺾이지 않는다면 여러 가지 이동제한이나 접촉제한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영업시간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를 했던 과거로 돌아가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이동제한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주간 코로나19 위험도 평가를 봐야 한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상황 악화에 대응해 지난 6일부터 사적모임 규모 축소, 방역패스 확대 특별방역대책을 시행한 정부는 1~2주 후부터는 효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사흘 연속 7000명대 신규 확진자가 쏟아지고 위중증 환자도 연일 800명대를 기록하는 등 방역지표가 급격히 악화하면서 당장 거리두기 강화 등 추가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박 반장은 “상황이 나빠지면 매주 진행하는 위험도 평가 외에 긴급평가를 할 수도 있다”며 “여러 가지 상황을 보고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당장은 특별방역대책의 효과가 나오는 시점은 아니라면서 “가장 중요한 추가접종 효과를 기다려봐야 한다. 위험도 평가 등 추이를 보면서 가장 급박한 상황까지도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확진자 규모를 예측하는 심은하 숭실대 수학과 교수는 이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이달 내 확진자가 하루 3만명에 도달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심 교수는 3만명 전망치에 대해 “연말까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시뮬레이션 결과로 나오고 있다”며 “사람들의 행동 패턴에 변화가 없다면 그럴 수 있는 위험이 충분히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코로나19 새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된다면 확산세가 더욱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