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중앙부처 청렴도 평가 ‘꼴찌’…LH는 공직유관기관 최하위

입력 2021-12-09 13:22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9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2021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청이 올해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중앙부처 중 유일하게 최하위 등급인 5등급을 받았다. 공직유관기관 중에서는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가 적발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5등급을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공직유관단체 등 592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렴도 조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종합청렴도는 공공기관과의 업무 경험이 있는 국민 14만5006명의 외부청렴도 평가, 기관 소속 공직자 6만1300명의 내부청렴도 평가에 부패사건 발생 현황을 반영해 산정된다.

전체 공공기관의 종합청렴도는 8.27점으로 지난해와 같았다. 권익위는 기관 유형과 정원 등을 고려해 세부 유형으로 나눈 뒤 종합청렴도 점수에 따라 1~5등급을 부여했다.

중앙부처 중 유일하게 5등급을 받은 경찰청의 경우 내부청렴도 점수는 3등급이었지만 외부청렴도 평가가 5등급에 그쳤다. 그만큼 외부에서 국민들이 느낀 경찰의 부패 정도가 심각하다는 뜻이다.

검찰청은 지난해보다 1단계 떨어진 3등급을 받았고, 지난해 5등급이었던 국토교통부는 1단계 오른 4등급을 받았다. 지난해 출범해 올해 첫 평가 대상이 된 질병관리청은 4등급이었다.

공직유관기관 중에서는 LH가 최하위 5등급을 받았다. 외부청렴도 평가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4등급이었지만, 내부청렴도가 5등급으로 3단계나 떨어졌다.

권익위는 “부동산 업무를 수행하는 공직유관단체의 구성원들은 권한·재량의 크기와 정보 중요도 등 조직의 부패 위험도가 부동산 업무 미수행 기관에 비해 대체로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초자치단체 산하 도시·개발 공사·공단의 내부청렴도에서도 내부 정보를 이용한 사익추구 항목, 이해충돌 방지제도 실효성 항목 등이 전반적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점수가 낮았다고 권익위는 밝혔다.

전현희 권익위원장은 “올해 초부터 공직사회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유발하는 사건이 있었지만 이를 계기로 더 적극적인 반부패 정책이 추진됐다”며 “앞으로도 효과적인 반부패 정책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