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6일 청소년에게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를 확대 적용하기로 한 정부 방침과 관련해 “접종하지 않은 학생들이 바이러스 전파의 매개가 될 수 있다”며 백신 접종 필요성을 다시금 역설했다.
김 총리는 이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청소년 방역패스 적용에 대한 반발 여론이 확산되는 것에 대해 “학부모들 사이에 불신이 있는 것 같은데, 청소년이 백신을 맞는 것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려 외국도 그렇게 하고 있다”면서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앞서 정부는 내년 2월부터 만 12∼18세 청소년에 대해서도 식당·카페·학원·도서관·독서실 등 시설에 대해 방역패스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사실상 백신 의무 접종을 강요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백신 반대 국민청원도 제기됐다.
김 총리는 그러나 방역패스가 미접종자에 대한 차별이라는 비판 등에 대해 “국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한 조치”라면서 “다른 나라는 (백신 미접종자가) 사실상 사회활동을 못 하게 하지만, 우리는 항체를 형성했다는 근거나 PCR(유전자증폭) 검사 음성 확인 등을 준비하면 된다”고 반박했다.
청소년 백신 관련 부작용 우려에 대해서는 “올해 수능 수험생들을 상대로 (접종)했을 때 중대한 후유증이 거의 없었다”면서 “한 분이 (접종 후) 80일 정도 지나 사망했는데, 그 학생은 급성 백혈병이라는 병이 있었다”고 전했다.
김 총리는 또 접종 시점 및 백신 물량 관련 “우리 아이들의 경우 12월 14일 즈음 학기말고사를 치르게 된다”면서 “기말고사를 치른 후 바로 어느 의료기관에서라도 접종이 가능하도록 (백신 양 등은) 충분히 준비돼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전면 등교 방침이 바뀔 가능성을 묻자 “코로나19가 장기화해 학습 격차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정서적 결손이 심각하다”며 “모두가 나서서 전면 등교 조치를 지켜야 한다”고 대답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