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룡 청장, 흉기난동 부실대응에 “경찰 소명 저버려”

입력 2021-12-03 10:01
김창룡 경찰청장.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김창룡 경찰청장은 3일 인천 층간소음 흉기난동 사건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경찰의 소명과 존재 이유를 저버린 명백한 잘못”이라고 사과했다.

김 청장은 이날 피해자의 가족이 올린 청와대 국민청원 답변자로 나서 “자신을 보호해 주리라 믿었던 경찰이 현장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에 빠진 국민을 제대로 지켜드리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청장은 “끔찍한 범죄 피해를 입은 피해자와 가족 분들의 심정을 생각하면 어떠한 말로 위로를 드려도 부족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112 신고를 받고 경찰관이 출동했지만 사건을 막지 못했고 무방비 상태의 피해자들을 두고 경찰이 현장을 이탈하는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경찰의 최우선 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보호하는 것”이라며 “이번 일은 경찰의 소명과 존재 이유를 저버린 명백한 잘못”이라고 말했다.

김 청장은 “경찰청은 현장에 출동했던 경찰 2명을 해임하고 지휘책임을 물어 관할 서장을 직위해제하는 등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건 당일 현장 경찰관들의 행위 뿐만 아니라 사건 이전 반복된 112 신고에 대한 미흡한 처리, 사건 이후 공감하기 어려운 언행으로 가족 분들 마음에 상처를 드린 점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해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청장은 “이번 사건을 경찰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조직적 문제로 인식하고 엄중한 위기의식을 갖고 있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비상한 각오로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해 경찰 체질을 개선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이번 사건과 관련해 여성 경찰 역할에 논란이 벌어진 데 대해서는 “이번 사건은 남녀의 성별 문제보다는 경찰관이 적절한 교육·훈련을 통해 충분한 현장 대응 역량을 갖추었는지가 핵심”이라며 “실제로 여경들은 최일선 지구대·파출소에서부터 범죄 수사, 과학수사, 집회 시위 대응, 교통안전, 사회적 약자와 범죄 피해자 보호·지원 등 모든 영역에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청장은 이어 “코로나19 대응으로 현장 대응훈련이 부족했던 신임 경찰관 1만여명 전원에게 물리력 행사와 경찰 정신 특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며 “112 신고 현장에 출동하는 지구대, 파출소 형사 등 현장 경찰 7만여명을 대상으로 1인 1발씩 테이저건 실사 및 긴급상황 대응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청장은 또 군대 선후임으로부터 협박·갈취를 당하다 사망한 20대 남성의 가족이 경찰의 부실한 초동수사를 지적하며 올린 청원에 대해서는 “수사가 미진했던 점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며 “앞으로 이런 부실수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책임수사 체계 전반을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