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5분기 연속 최저치를 경신하며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당국이 지난해부터 코로나19 대책으로 내놓은 대출 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 등 조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9월 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을 30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9월 말 국내 은행 부실채권 비율은 사상 최저치인 0.51%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 2분기보다 0.03%p 하락했다. 부실채권 비율은 은행의 부실채권 액수를 총 여신으로 나눈 수치다. 부실채권 규모는 11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3000억원 감소했다.
부실채권 비율과 규모가 줄어든다는 것은 빚을 낸 이후 은행 이자가 밀리는 일이 줄었다는 의미다. 금감원에 따르면 기업과 가계의 부실채권 비율은 각각 0.72%, 0.17%로 지난 분기 말 보다 하락했다. 신용카드 채권의 부실 비율(0.83%)은 전 분기 말과 유사했다.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코로나19가 확산한 지난해 초부터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9월 말 0.65%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후 분기마다 경신하는 중이다.
이 같은 추세에는 정부의 금융지원 조치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금융당국은 기업과 가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원리금 상환 유예와 대출 만기 연장 등 조치에 나섰다.
그러나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부실채권이 급격히 늘어날 위험이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실물경제 회복 속도 및 양상, 금융지원 지속 여부 등에 따라 (은행의) 부실이 표면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최근 기준금리가 1%대로 인상돼 이자 부담이 늘어난 것도 부정적인 요인이다.
방극렬 기자 extre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