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동산 신산업인 ‘프롭테크’ 활성화를 위해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부동산 전자계약 활성화를 위해 공공 분야에서부터 전자계약을 의무화하고, 부동산서비스산업 내 신산업과 기존 산업의 갈등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협의체도 구성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부동산 신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부동산 신산업이란 공인중개업, 토지 감정, 부동산 임대업, 부동산개발업 등 기존 부동산서비스에 ICT(정보통신기술) 등을 접목해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자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프롭테크’로 불린다.
프롭테크 업계에서는 공공이 가진 부동산 정보에 대한 수요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가 지난 10월 실시한 업계 수요조사에서 도시계획정보나 건축물대장, 공장·창고·운수시설 등 업무용 부동산의 실거래가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고 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공이 가진 데이터를 단계별로 개방하는 전략을 수립기로 했다. 프롭테크 업체들이 다양한 기관에 산재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수집·관리할 수 있도록 주택 공급계획이나 건축물 지적, 임대차정보, 부동산거래계약 정보 등을 담은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국토부는 또 현재까지 저조했던 부동산 전자계약을 확대하기 위해 관련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공공과의 계약부터 의무화를 추진키로 했다. 또 ‘타다 사태’와 같은 기존 산업과 신산업 간 갈등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국토부와 한국부동산원에 신산업과 기존산업 간 협의체를 개설한다.
서울 도심 등에 프롭테크 종사자들의 업무공간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우선 한국부동산원 강남사옥을 기존 100㎡에서 308㎡로 다음 달까지 리모델링해 프롭테크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한다. 향후 판교나 부산 등 대상 지역 확대도 검토한다. 전국 프롭테크 사업체는 284개로 종사자 수도 1만7494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