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분담금, 민간 정비사업보다 30% 이상 낮아”
정부가 도심 내 주택 공급 차원에서 추진 중인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의 예정지구에 서울 신길2구역(영등포구)과 인천 제물포역 인근 등 5곳이 추가됐다. 이들 5개 구역의 주민 분담금은 민간 정비사업보다 30% 이상 낮게 책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서울 신길2구역과 쌍문역 서측(도봉구), 덕성여대 인근(도봉구), 인천 제물포역·부천 원미사거리 인근 등 5곳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2차 예정지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말 서울 증산4구역(은평구), 연신내역(은평구), 쌍문역 동측(도봉구), 방학역(도봉구) 등 4개 구역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첫 예정지구로 지정한 바 있다. 이 4곳까지 합치면 현재까지 총 1만4072가구의 주택 공급이 가시화된 셈이다.
이번에 2차 예정지구 지정된 곳들은 대부분 주민 동의율 3분의 2 이상 확보된 곳이다. 신길2구역은 과거 뉴타운에 지정됐다가 해제되면서 장기간 개발이 지연된 곳이다. 인근 신길4·15구역과 영등포역세권 개발 등을 통해 인근 주거 환경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곳이다. 제물포역 인근 지역도 1호선 급행 정차역에 인접해 입지가 좋다는 평가가 많다.
국토부는 5개 구역의 주민 분담금이 민간 정비사업 대비 30% 이상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5곳 중 세대별 평균 부담금이 가장 저렴한 제물포역 인근은 3000만원에 불과하다. 신길2구역의 우선공급 추정 분양가는 전용면적 59㎡ 기준 5억8000만원, 84㎡ 기준 7억6000만원이다. 제물포역 인근의 추정분양가는 전용 59㎡가 3억1000만원, 84㎡가 4억2000만원으로 각각 책정됐다. 이 5개 구역에 대해 정부는 올해 말 지구지정, 내년 초 설계 공모를 거쳐 내년 말까지 시공사 선정과 사업계획 승인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