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높이 평가하는 역대 대통령을 꼽아달라’는 질문에 이승만 박정희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 등 4명을 나열했다.
윤 후보는 25 저녁 모교인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국민의힘 서울캠퍼스 총회에 참석해 “가장 높게 평가하는 분으로 한 분만이 아니라 여러분을 얘기하겠다”며 “나중에 4·19 민주혁명에 의해 물러나긴 했지만, 정부 수립해서 자유 민주주의란 헌법 가치를 세운 이승만 전 대통령, 경제를 일으켜 민주화 토대를 만든 박정희 전 대통령, 민주화를 위해서 헌신한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 이런 분들이 조금 더 시간이 지나서 더 평가가 이뤄져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직전, 전 전 대통령을 평가하는 것은 너무 빠른 것 같다”며 수감 중인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을 우회적으로 언급한 뒤 “대통령이 돼서 국정 운영을 하다 보면 빛과 그림자가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는 검찰총장 출신으로서 ‘권력형 비리 수사’에 대한 견해를 묻자 “현 정권 말고 다른 정권이 했던 것처럼 하면 된다”고 답해 장내에 웃음이 터졌다.
그는 “문민정부나 국민의정부, 노무현정부, 이명박정부 다 자식이든 측근이든 비리를 저지르면 사법 처리를 했다”며 “민주화 이후에는 다 했다. 유난히 이 정부 와서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이 정말 중요하다”면서 “권력자에게 맘에 안 든다고 해서 (검찰을) 학살 인사 식으로 해버리면 그 자체가 범죄를 은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차별금지법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윤 후보는 “형사법 집행은 공동체의 필수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 집행하는 것이지만 자칫 잘못하면 심각한 프라이버시와 개인의 자유 침해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면서 “평등을 지향하고 차별을 막겠다고 하는 차별금지법도 개별 사안마다 신중하게 형량(결정)이 안 돼서 일률적으로 가다 보면,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문제가 많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이 ‘가짜뉴스 피해구제법’으로 부르는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민주사회의 가장 기본인 언론의 자유, 언론 기관의 자유,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아프다고 늘 병원 가서 MRI(자기공명영상장치)를 찍고 수술하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 자연치료가 되는 것도 많고 병원에 가서도 주사 한 대 맞을 것, 수술할 것이 나뉘듯이 공동체에서 벌어지는 질이 안 좋은 반칙은 엄단해야겠지만 법 집행을 한다고 해서 함부로 개인의 사적 영역에 들어가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면서 “국가 권력이 개인의 영역을 함부로 침범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또 현 청년세대의 특징을 “불안”으로 정의한 뒤 “(취업 등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잘 다스리고, 너무 정신을 소모하지 않고, 자신감을 갖고 준비해 나가는 게 중요하지 않나”라고 조언했다. 다만 “그 불안이 개인적인 게 아니라, 제도적이고 사회적일 경우 사회 공통의 문제로 인식해서 불안을 감축시켜야 한다”라고도 덧붙였다.
윤 후보는 ‘홍준표 의원이 경선에서 20대 지지가 높았던 까닭이 무엇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을 받고는 “그 질문을 계속 받는데 아직도 잘 모르겠다”면서 “(홍 의원이) 토론할 때 공격적으로 하고 해도 말씀하실 때 보면 굉장히 귀여운 데 가 있다”며 웃음을 터뜨렸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