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4명이 폐의약품을 버리는 방법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 부족은 절반에 가까운 도민이 일반쓰레기 종량제 봉투나 가정 내 하수관을 통해 버리고 있는 현상으로 이어져 유해폐기물로 분류된 폐의약품이 일반쓰레기로 땅에 매립되거나 하수구에 버려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문제는 이렇게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폐의약품이 토양·수질 등 환경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지난 11일부터 12일까지 이틀간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폐의약품 처리’ 관련 여론조사를 벌여 이러한 내용의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폐의약품을 버리는 방법에 대해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0%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49%로 가장 높았으며, 30대가 32%로 가장 낮게 나왔다.
‘폐의약품 처리를 어떻게 하고 있느냐’에는 ‘일반쓰레기 종량제봉투’가 3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약국 제출 또는 약국 수거함’(34%), 처분하지 않고 집에 보관(12%), ‘보건소 등 공공시설 수거함’(6%), 가정 내 싱크대·변기·하수관(5%) 순이었다.
폐의약품 처리가 잘 안 되는 원인으로 응답자의 84%가 ‘주거지 주변에서 폐의약품 수거함을 본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응답자의 대부분인 89%가 ‘정부나 지방정부가 폐의약품 원활하게 수거하고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폐의약품은 약국 제출 또는 약국 수거함, 보건소 등 공공시설 수거함 등에 버려야 한다.
이에 도내 각 시·군은 약국이나 보건소, 행정복지센터 등 공공시설에서 폐의약품을 수거해 소각 처리할 수 있도록 약국과 공동주택 등에 폐의약품 수거함을 설치하고 있다.
현행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폐의약품은 폐농약, 수은이 함유된 폐기물 등과 함께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분류됐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자동응답조사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서 ±3.1%p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