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정권, 유화정책 동시에 공포정치,…남북관계는 긴장·화해 반복

입력 2021-11-23 20:59 수정 2021-11-23 21:01

전두환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유화정책을 펼침과 동시에 공포정치로 국가를 통치했다. 남북관계는 화해와 경색 국면을 번갈아 맞으며 역동적인 시기를 보냈다.

체육관 간선제를 통해 제12대 대통령직에 오른 전씨는 정권 초기 ‘3S’ 정책에 주력했다. 스크린(Screen)·스포츠(Sports)·성(Sex) 관련 산업을 장려하는 이 정책은 정권에 반발하는 세력을 잠재우기 위한 것이었다. 야간통행 금지 조치 해제와 학원 두발 및 복장 자율화 등 조치도 내렸다.

하지만 삼청교육대 설치, 재야인사에 대한 탄압 등 공포정치도 마다하지 않았다. 삼청교육대는 1980년 5월 상계엄이 발령된 직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가 사회 정화의 목적으로 설치한 기관이다. 하지만 억울한 일반인들도 강제 소집돼 인권탄압을 당하는 등 삼청교육대는 전두환 정권의 대표적 인권침해 사례로 꼽힌다.

고(故) 김근태 전 의원의 고문 폭로, 권인숙 부천서 성고문 사건 등이 잇따라 터지며 정권의 민낯이 드러나기도 했다. 김 전 의원은 1985년 9월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 등으로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고문당한 사실을 폭로했다. 1986년 6월 학생운동가 권인숙이 부천경찰서에서 성고문 당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상을 뒤흔들었다.

이어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같은 해 6월 최루탄을 맞은 이한열의 사망은 6·10 민주항쟁을 부르는 도화선이 됐다.

남북관계는 1983년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극도의 긴장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해 10월 전씨가 참배한 아웅산 국립묘소에 북한군이 폭탄을 설치해 수행원 17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이후 북한과의 대화는 모두 차단됐다.

그러다 1984년 9월 대홍수 당시 북한의 대남 인도 지원으로 남북관계는 화해 분위기로 들어섰다. 대남 지원 이후 적십자회담, 이산가족 상봉 등이 성사됐다. 같은 해 최초의 남북경제회담도 이뤄졌다.

하지만 1987년 11월 115명이 사망한 대한항공(KAL) 폭파 사건으로 재차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됐다. 공작원 김현희는 테러 이후 기자회견에서 “북한 최고 권력자 지시로 서울올림픽 개최 방해와 대선 혼란 야기를 목적으로 범행했다”고 밝혔다. 이 사건으로 한미는 안보태세를 강화했고 북한은 외교적으로 고립됐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