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단체 긴급회견 “전두환 죽음이 진실 묻을 수 없어”

입력 2021-11-23 13:59 수정 2021-11-23 14:00
지난 8월 9일 광주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 출석한 전두환 전 대통령이 25분 만에 건강 이상을 호소하며 퇴청하고 있다. 전씨가 공식 석상에 노출된 마지막 모습이다.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망 소식을 접한 5·18 단체들은 “역사적 죄인이 사죄조차 없었다”며 국가장·국립묘지 안장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5·18 기념재단과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23일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전두환이 죽더라도 5·18의 진실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전두환은 군내 사조직 하나회를 결성해 군사 반란을 일으켜 집권하고 5·18 민주화운동을 유혈 진압한 뒤 1980년부터 1988년 초까지 대통령 자리를 차지했다”며 “계속되는 거짓말과 왜곡으로 국민과 대한민국 사법부를 기망한 전두환은 반성과 사죄는커녕, 자신의 회고록으로 5·18 영령들을 모독하고 폄훼하면서 역겨운 삶을 살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동안 자신이 5·18과 무관하다며 구차한 변명과 책임 회피로 일관한 학살자 전두환은 지연된 재판으로 결국 생전에 역사적 심판을 받지 못하고 죄인으로 죽었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조비오 신부 명예훼손) 재판이 학살 책임자에게 엄중한 법적 책임을 묻는 ‘역사적 심판’이 되길 기대했지만 그의 죽음으로 이마저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며 원통한 마음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학살 처벌 책임자로서 죄는 사라지지 않는다. 진상 규명은 진행 중이고 특히 발포 책임자를 밝혀야 한다”며 “전두환의 행적과 더불어 죄를 낱낱이 밝혀 역사적 심판대에 세우는 것이 오월단체 피해 유족들의 임무이자 과제”라고 했다.

회견 이후 전씨의 국가장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앞서 노태우씨의 국가장 결정에 대해 다수의 국민들은 반대하고, 대통령의 결정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 전두환 국가장은 터무니 없다.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답했다.

국립묘지 안장 문제에 대해서도 “현행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전두환은 내란죄로 처벌받았기 때문에 안장될 수 없다”고 단호히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장엔 ‘전두환 죽음이 진실을 묻을 수 없다’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한편 전씨는 이날 오전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90세 일기로 별세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