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은 23일 요소수 사태와 관련해 “국정원 현지 정보관이 보고했지만 단편 첩보로 간과한 면이 있었다”며 사과했다.
박 의원은 이날 정보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같이 말했다고 정보위 여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박 원장은 “국정원이 단편 첩보로 인식해 심각성을 간과하는 바람에 요소수 문제에 선제 대응을 못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복수의 정보위원들은 “이것이 국정원이 과연 사과할 문제냐, 신(新)안보 분야 정보 수집권이 없는데 사과할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기자들에게 해외 정보관 파견국에 대해 “중국”이라고 설명했다. 첩보 보고 시점에 대해선 “중국에서 예고하지 않았나. 그 언저리”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요소수 사태 외에도 일본의 경제 보복, 코로나 사태 등 신안보 분야와 관련해 “법 개정을 통해 (국정원에) 정보 수집 권한을 주는 방안을 논의해야 하지 않을까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또 “사이버 안보 분야도 마찬가지다. 현재까진 다른 기관에서 (정보 수집을) 실행할 능력이 없다. 국정원 통제를 강화하더라도 이런 분야에 대한 수집은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왔다”고 말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