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오해와 왜곡 앞에서 전율했다”…뻔뻔한 전두환 유족들

입력 2021-11-23 12:27 수정 2021-11-23 17:36

23일 향년 90세로 사망한 전두환 전 대통령은 부인 이순자 여사와의 사이에 재국, 재용, 재만, 효선 등 3남 1녀를 뒀다. 전씨는 경남 합천, 1939년생인 이 여사는 만주에서 태어났다

노태우 전 대통령 유족과는 달리 전씨 유족들은 5·18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등 과오를 여전히 인정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뻔뻔한 태도는 이 여사의 자서전에서 드러난다. 이 여사는 2017년 3월 출간한 ‘당신은 외롭지 않다’에서 “12·12, 5·17, 5·18에 대한 편집증적 오해와 정략적인 역사 왜곡 앞에서 나는 몇 번이고 전율했다”고 썼다. 군사 쿠데타 등 역사적 과오 문제가 ‘오해’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한 것이다. 5·18에 대해서는 “당시 수사책임자인 동시에 정보책임자였던 그분(전씨)은 결코 발포 명령을 내릴 위치에 있지 않았다”고 적었다.

이 여사는 12·12 군사 쿠데타와 관련해선 “최규하 대통령이 1980년 7월 말 광주 사태에 대한 정치적 도의적 책임을 지고 대통령직을 사임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남편에게 후임이 되어줄 것을 권유했다”고 주장했다.

이 여사는 전씨가 사자명예훼손죄 재판을 받기 위해 광주를 오갈 때에도 동행했지만 사과 요구 등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 노 전 대통령의 빈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부인 이순자 여사가 2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1. 10. 2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2021-10-28 14:46:26/

추징금 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검찰은 2013년 전씨 일가의 비자금에 대한 수사를 벌였고, 이때 장남 재국씨는 일가족 명의의 입장문에서 미납 추징금을 자진 납부하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정부가 추징금 환수를 위해 연희동 자택을 공매에 넘기자 소송전을 벌였다.

차남 재용씨는 양도소득세 포탈 등의 혐의로 40억원의 벌금을 부과받았으나 납부를 회피해 노역장에 유치됐다.

전씨 유족의 모습은 지난달 별세한 노 전 대통령 유족들의 태도와 차이가 크다.

노 전 대통령의 아들 재헌씨는 부친의 사망 이후 “과오가 있었다면 너그럽게 용서해 달라”는 유언을 전했다. 재헌씨는 부친을 대신해 5·18에 대한 사과의 뜻을 거듭 밝히기도 했다. 2019년 8월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하고 지난해 5월 부친 명의의 추모 화환을 헌화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