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전두환 추모메시지 없을 듯…국가장도 부정적

입력 2021-11-23 11:15 수정 2021-11-23 13:17
지난 8월 9일 광주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연희동 자택을 나서는 전두환 전 대통령. 연합뉴스

23일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한 것과 관련해 청와대도 정부 대응 방향을 놓고 긴박한 논의를 벌였다.

청와대는 전씨 사망 직후 경찰 등으로부터 관련 보고를 받은 후 비서실을 중심으로 향후 장례 절차를 어떻게 할지나 국립묘지 안장 여부, 문재인 대통령의 추모 메시지 발신 여부, 대통령 명의 조화 조치 여부 등을 다각도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카를로스 알바라도 케사타 코스타리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있는 만큼 문 대통령과 참모진 회의는 이날 오후쯤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내부 기류는 장례를 국가장으로 치르는 것이나 전 전 대통령을 국립묘지에 안장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시민 학살이라는 역사적 과오를 남긴 데다 잘못을 제대로 인정하거나 사과하지 않은 상태여서 앞서 사망한 노태우 전 대통령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판단에서다.

전 전 대통령은 이미 유죄 판결로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가 박탈돼 국가장이나 국립묘지 안장 대상이 아니다. 노 전 대통령의 경우 예외적으로 국가장을 허용했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 역시 지난달 28일 CBS라디오에서 “전 전 대통령의 경우 국가장이나 국립묘지 안장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며 “노 전 대통령과는 완전히 다른 케이스”라고 일축한 바 있다.

또 문 대통령의 조문도 없을 것으로 보이며 추모 메시지도 별도로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조문, 추모 메시지, 조화 조치 여부 등이 모두 아직 논의되지 않았다. 자세한 방침은 오후 회의를 거쳐봐야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노 전 대통령이 별세했을 때는 사회통합 측면에서 문 대통령이 추모의 뜻을 밝힌 바 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노 전 대통령 별세에 대해서는 “과오가 적지 않지만 성과도 있었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에게 위로를 전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직접 조문하지 않고 조화만 빈소에 보냈으며, 대신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이 빈소를 찾아 유족을 만났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