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는 일부 장관들이 내년 6월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하고 이로 인해 개각이 단행될 가능성에 대해 “국민들이 조롱할 일”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김 총리는 22일 오후 세종공관에서 가진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정권이 6개월 남았는데 무슨 개각을 하는가”라며 이같이 밝혔다. 인사청문회 등의 일정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개각이 쉽지 않다는 얘기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강원지사 출마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의 경기지사 출마설 등을 김 총리가 부인한 것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김 총리는 특히 유 부총리를 언급하며 “전면 등교가 유 부총리의 꿈이긴 했지만, 그것(전면 등교)이 결정됐다고 해서 사퇴한다는 것은 (예측이) 지나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직이란 국민의 공복인데 (선거를 위해 사퇴한다면) 국민에게 조롱을 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총리와 장관이 지사직에 도전하려면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일 90일 이전인 내년 3월 3일 이전에 사퇴해야 한다. 김 총리는 사퇴 관련 상의를 해온 장관이 없느냐는 질문에 “나 몰래 청와대하고 거래를 했을 수도 있지만, 상식적으로 말이 되겠나”라고 일축했다.
개각 가능성에 대해 완전히 선을 그은 것은 물론, 장관들이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한 후 대행체제로 부처가 운영되는 것에도 부정적 인식을 드러낸 셈이다.
김 총리는 본인을 둘러싼 막판 대권 등판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국민에 대한 모욕이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단호한 답변을 내놨다.
최근 발생한 요소수 대란과 관련해 김 총리는 정부의 실책을 인정하며 “‘중국이 설마 부두에 나와 있는 것까지 막을까’ 하는 안일함이 있었다. 이번 일이 좋은 반면교사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제2의 요소수 대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물량 부족 시 치명적일 수 있는 물자에 대해 일종의 지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물량 상태를 노란불·파란불·빨간불로 구분해 관련 부처가 곧장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김 총리는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선 후보가 주장했다가 철회한 전국민 방역지원금 지급 문제와 관련해선 “통화 가치를 염두에 두지 않고 막 (지급)할 수는 없지 않은가”라고 반문했다. 여행 숙박 관광 공연 등 소상공인 손실보상법에 해당하지 않는 ‘사각지대 업종’의 경우 현금보상은 한계가 있어 대출지원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 김 총리는 “(부동산 과열 현상이) 수그러들고 있다는 확신은 있다”며 “(생애최초주택 구입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을 풀어서 실수요자를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했다”고 자평했다.
공공기관 2차 이전의 경우 “남은 6개월간 사실상 어렵다”며 차기 정부로 넘길 방침을 시사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