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2일 김부겸 국무총리를 만나 최근 단계적 일상회복 정책에 따른 병상 부족 사태의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국무총리실에 따르면 김 총리는 이날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주례회동에서 문 대통령에게 “거점병원 추가 지정과 비수도권 병상 공동 활용을 통해 수도권 병상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보고했다.
김 총리는 이어 “인력과 병실 운영에 대한 자율성을 (병원에) 부여해 실제 가용한 병상을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라며 “수도권의 경우 환자 배정 단계부터 체계적 관리를 위해 전문의 군의관도 추가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무증상, 경증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해서는 재택 치료를 원칙으로 하고 확진자 진료가 가능한 전담병원의 외래진료와 연계해 환자를 보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또 문 대통령에게 “수도권을 중심으로, 60대 이상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고령층과 고위험시설 등을 대상으로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최대한 빠르게 시행하겠다”고 보고했다.
그러면서 “고령층과 고위험군 등에 대한 접종 간격을 단축해 연내 추가접종 대상을 당초 559만명에서 1378만명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 있는 44만명은 금주 중 추가접종을 완료하고, 노인시설 등 나머지 고위험시설에 대한 접종도 최대한 신속히 완료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위중증 환자 감소를 위해 “머크, 화이자로부터 먹는 치료제를 조기에 도입하고 국산 항제치료제도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