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구의 환경 회복을 위해 금강하굿둑 상류 10㎞까지 바닷물을 유통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도와 지역 국회의원, 도내 5개 시군은 22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위한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 환경부 및 해양수산부 관계자, 지자체장 및 전문가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충남 서천과 전북 군산을 잇는 금강하굿둑은 산업화 시대 공업·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1990년 건설됐다. 둑 건설 이후 물길이 막히며 1992년 3등급이던 수질은 2019년 6등급으로 떨어졌고, 수질 악화로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는 등 각종 부작용이 발생했다.
주제발표를 맡은 이창희 명지대 교수는 금강하굿둑 갑문개방을 통한 환경 복원 시나리오 분석 결과를 설명했다.
이 교수는 “하굿둑 상류 10㎞까지 해수를 유통하는 것이 양수시설 이전 비용 대비 환경개선 효과가 높았다”며 “생태복원을 위해 이해당사자 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이 사업을 정책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허재영 국가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지정토론에서는 진명호 환경부 과장, 양금봉 충남도의회 금강특위 위원장, 김억수 금강하구생태복원위원회 운영위원장, 안순모 부산대 교수, 김영일 충남연구원 박사 등이 참여했다.
양금봉 위원장은 하굿둑으로 물 흐름이 단절된 금강하구호의 수질악화 상황을 지적했다.
그는 “최근 청산가리의 100배 독성을 지닌 ‘마이크로시스틴’이 금강하구호에서 검출됐다”며 “2009년부터 금강하구호 물 이용과 관련해 다양한 갈등이 발생하고 있는데, 갈등보다 수질개선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안순모 교수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 실험을 통해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인 기수(汽水)의 생태가 복원되는 효과가 나타났다”며 “2019년부터 이어진 개방 실험에서는 장어가 잡히고 기수 어류가 관찰되기도 했다”고 했다.
김영일 박사는 “금강유역 여건 변화를 고려한 통합적 시각에서의 금강하구 복원을 추진해야 한다”며 “생태복원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기반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재영 위원장은 “하구의 기수 생태계 복원, 현명한 이용이라는 가치가 공존하는 건강한 금강이 되길 바란다”라고 했다.
도는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대선 국정과제에 반영시킨다는 계획이다.
양승조 지사는 “충남의 보물이자 젖줄인 금강을 다시 흐르게 하기 위해 민·관·정이 힘을 모아야 한다”며 “정부가 금강하구의 자연성 회복을 국정과제로 반영해 적극적인 복원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