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농가 소득 향상과 청년 농업인 육성에 드라이브를 걸며 농촌에 희망의 바람을 불어 넣고 있다.
경남도 농정국은 농산품 소비 경향의 빠른 변화와 농업인구 고령화, 코로나19로 인한 인력난의 어려움 속에서도 농가 소득향상과 청년 창업농 육성 기반을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내년부터 도내 농업인에게 농어업인 수당을 지급한다. 도는 지난해 ‘경남도 농어업인수당 지급 조례’를 제정한 후 18개 시·군 농어업인 단체들과의 수차례 논의 끝에 지난 8월 지원대상과 금액 등에 대한 합의를 이뤘다.
민선7기 도정과 함께 출범한 ‘농어업특별위원회’와 경남연구원 산하 ‘농어업정책센터’가 많은 시간 농민단체와 머리를 맞댄 결과다.
지원 대상은 도내에 1년 이상 거주하면서 농어업경영체에 등록한 경영주 21만3000명과 공동경영주로 등록한 배우자 7만7000명 등 총 29만 명이다. 지원금액은 농어업경영체에 등록된 농어가에 연 30만 원, 공동경영주가 함께 등록된 농어가는 연 60만 원이며 수당은 지역화폐로 지급한다. 특히 타 시도의 농가 단위 지원방식과는 다르게 (배우자)공동경영주에 대한 지원을 포함해 수혜자의 폭을 넓혔다.
도는 농산물 수급안정을 위해 지난해 4월에는 전국 최초로 빅데이터 기반의 ‘주요 농산물 가격예측 시스템’을 마련했다.
시스템에는 마늘, 양파, 딸기 등 경남의 주요 농산물 품목에 대해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가격예측 정보를 제공한다.
전국 32개 도매시장 가격정보와 기상청, 통계청, 농산물유통종합정보시스템 등의 기초자료와 연계한 시각화된 정보로 도민들이 알기 쉽게 구성돼 있다. 향후 농업인들이 가격예측 정보를 활용해 주도적으로 수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기능 개선과 시스템 고도화 등 편의성 향상을 기할 방침이다.
경남도는 농촌지역의 불안정한 생산과 판로문제, 도시지역의 먹거리 불안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다. ‘먹거리통합지원센터’가 그중 하나로 지역 내 중소농 생산자 조직을 통해 지역 학교에 식재료를 공급한다.
농가는 계약재배를 통해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받고, 학교는 안전하고 우수한 식재료를 공급받는 윈윈(win-win) 구조다. 10월 말 현재 김해, 밀양, 남해, 거창에 센터를 운영 중이며 연말에는 창녕, 고성, 합천 센터를 준공하고 내년에는 창원과 진주, 거제, 함안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도는 농축산업 스마트화로 경쟁력 향상 및 청년 창업농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농업과 전후방 산업의 동반성장을 이끌기 위한 ‘경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역시 내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순항 중이다.
경남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총 904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청년창업 보육 실습농장, 임대형 스마트팜, 기술 표준화를 위한 실증단지 등으로 조성된다. 핵심기능인 청년창업보육센터는 지난 9월에 우선 준공했다.
청년창업보육센터에서는 스마트팜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팜 영농 전 과정을 무상 교육한다. 교육과정을 기준 이상으로 수료하면 혁신밸리 내 임대형 스마트팜을 최대 3년간 저렴하게 빌릴 수 있다. 청년농업인들은 초기 투자 부담이 낮은 임대형 스마트팜에서 충분한 실습 과정을 거치며 영농경험을 쌓고 종자돈을 마련해 독립경영의 꿈을 키울 수 있다.
청년창업보육센터는 한 기수에 52명을 선발하는데 지난 5월 마감한 2기 교육생 모집에서는 3대 1의 경쟁률을 보일 만큼 관심이 높았다. 도는 혁신밸리를 스마트농업을 선도할 청년창업농을 육성하고 스마트팜 기자재 연구·실증 기능을 집약한 스마트팜의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정연상 도 농정국장은 “올 한해 농가 소득향상과 청년 창업농 육성 기반 마련에 집중해왔다”며 “앞으로도 농업인의 소득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