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을 시작한 11월 첫 주부터 3주 연속 위중증 환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5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2차장 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면서 “최근 한 주간 일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498명으로 11월 첫 주부터 3주 연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장관은 “중증환자 규모와 평균 병상 가동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병상확보 및 의료인력 확보에 만전을 기하고 고위험군에 대한 추가접종 확대를 통해 중증 환자수를 최대한 줄여 나가겠다”며 “접종 완료 이후 면역력 저하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요양병원·시설 입소자에 대해 적극적 독려를 통해 추가접종 동의율을 높이겠다”고 했다.
그는 “특히 접종기간 단축에 따른 추가접종 대상자에 대해서는 접종이 조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방문 접종인력을 최대한 지원하겠다”며 “접종 완료자에 한해 허용되던 ‘접촉면회’를 잠정 중단하고 요양병원별로 전담 공무원을 1대 1로 매칭하는 ‘요양병원 책임제’를 통해 방역수칙 준수 여부 등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이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21일까지 기본(1·2차) 접종을 완료한 국민은 전체의 78.9%다. 추가접종(부스터샷) 대상자인 60세 이상 고령층과 고위험군, 면역 저하자 등 720만여 명의 추가 접종률은 약 25% 수준이다.
아울러 전 장관은 수도권지역 각급 학교의 전면등교가 시작됨에 따라 철저한 방역관리를 강조했다.
그는 “오늘부터 수도권 지역 각급 학교의 전면등교가 시작된다”며 “정부는 수도권 지역 과대·과밀 학교 600여 개소에 지원한 방역 인력 1800여 명을 활용해 학교시설 방역에 만전을 기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학원, PC방, 노래연습장 등 감염 우려가 큰 학교 밖 시설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교육청, 학부모 등 1300여 명이 참여하는 ‘학교 생활방역 지도점검단’을 연말까지 운영해 방과 후 생활지도 등 안전관리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또 “서울·경기 등 6개 시도에서 운영 중인 ‘선제적 코로나19 검사 이동 검체팀’을 연말까지 확대 운영해 학생들의 검사 편의성을 높이고 확진자를 조기에 발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역 현장에서 더욱 안정적인 환자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인력 확충 기반도 강화한다.
전 장관은 “올해 시·군·구 보건소에서 진단 검사 및 역학조사 등의 업무를 담당할 800여 명의 인력이 충원될 수 있도록 한 데 이어 내년에도 750여 명이 추가 확보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중증 환자 전담 간호사 양성사업’을 통해 내년 초까지 200여 명의 전담 간호인력을 추가 확보하고 관련 상황을 고려해 사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