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트폭행’ 여성 발견 늦어진 이유 ‘시스템 불안정’

입력 2021-11-20 17:00 수정 2021-11-20 17:00

경찰이 데이트폭력으로 신변 보호를 받다 숨진 30대 여성의 신고 위치를 10여분간 파악하지 못한 이유는 불안정한 위치추적 시스템 때문이었다. 경찰은 기존보다 더욱 개선된 위치추적 시스템을 시범운영 중이라고 해명했다.

서울경찰청은 “신변 보호 대상자 사망 사건 처리 과정에서 최초 신고 시 스마트워치의 위치값이 명동으로 나타난 것은 스마트워치 위치를 기지국 중심으로 확인하는 기존 112시스템을 활용해 조회했기 때문”이라고 20일 밝혔다. 앞서 지난 19일 서울 중구 한 오피스텔에서 30대 여성 A씨가 흉기에 찔려 살해됐다. A씨는 지급받은 스마트워치로 2차례 도움을 요청했지만, 경찰은 첫 신고 12분이 지나서야 사건 현장에 도착하며 논란이 됐다. 발견 당시 A씨는 이미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첫 신고 때 경찰이 파악한 A씨의 위치는 현장에서 500여m 떨어진 중구 명동 일대였다.

경찰에 따르면 기존 시스템은 스마트워치 착용자가 비상 버튼을 누를 경우 일차적으로 기지국(cell) 위치값을 확인한다. 이후 5초마다 와이파이(WiFi)와 GPS(위성)를 통해 위치가 추가로 확인된다. 회신되는 위치값의 70%는 기지국 방식이고, 30%가 와이파이와 위성 방식 값이라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애초부터 와이파이나 GPS로 보정되지 않으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힘든 구조인 셈이다. 실제 이번 사건에서도 A씨는 피의자와 맞닥뜨린 뒤 곧장 스마트워치를 작동했지만, 기지국 위치값만 잡히고 와이파이나 위성 위치값이 잡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피습을 당한 뒤 재차 신고 버튼을 눌렀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경찰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스마트워치 등 신변보호 대응 시스템의 한계를 재점검할 계획이다. 특히 시범 운영 중인 ‘신변 보호 위치확인시스템’도 함께 점검할 방침이다. 현재 경찰청은 기존 112위치추적시스템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달 말부터 이 시스템을 개발해 시범운영 중이다. 기지국에 주로 의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기지국·와이파이·GPS로 동시에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경찰은 이 시스템으로 위치추적시간은 3초 이내, 오차범위는 50m 이내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경찰은 A씨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혐의(살인 등)로 전 남자친구 B씨(30대)를 대구의 한 숙박업소에서 이날 검거했다. B씨는 경찰이 도착하기 전 현장을 벗어나 대구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B씨를 상대로 정확한 범행 동기 등을 조사해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