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이어 영국도 내년 2월로 예정된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외교적으로 보이콧 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20일(한국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보도했다.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은 올림픽에 선수단을 보내되 관행적으로 해왔던 정부나 정치권 인사들로 꾸려진 사절단은 파견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이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외교적 보이콧을 택했고,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의 합류 가능성이 생겼다.
더타임스는 “중국에 대해 전임자보다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해 온 리즈 트러스 외교부 장관은 외교적 보이콧을 찬성하는 입장”이라며 “반면 존슨 총리는 상대적으로 조심스러운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존슨 총리는 선수단 불참을 포함한 전면 보이콧은 없을 것이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영국 정부 내에서는 존슨 총리가 불참하고 캐롤라인 윌슨 주중영국대사만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석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영국 하원은 신장 위구르족 자치구와 티베트 등에서 중국의 인권 탄압 의혹을 이유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지난 7월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최근에는 중국의 인권 문제를 비판했다가 중국 정부의 제재를 받은 영국 보수당 소속 정치인 5명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요구하는 서한을 존슨 총리에게 보내기도 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8일 백악관에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회담을 취재하는 기자로부터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지지하느냐고 묻자 “우리가 검토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검토는 신장 자치구 인권 관행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스포츠 행사를 정치화하지 말라”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 대변인은 19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스포츠 행사를 정치화하는 것은 올림픽 정신에 어긋나고 각국 선수들의 이익에 피해를 입힌다”고 비난했다.
김승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