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부스터샷) 의무화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완전 접종’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소한의 백신도 공급받지 못한 후진국과의 격차가 더 커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7일(현지시간) CNN은 델타 변이에 따른 백신 면역력 저하와 감염 확산에 따라 기존 2회였던 ‘완전 접종’ 개념이 선진국에서 3회 접종으로 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는 지난 15일 “백신을 3회 접종하는 건 중요한 사실이 되고 있고, 모든 방면에서 삶을 더 용이하게 할 것이라는 점이 매우 명백하다”며 추가 접종 필요성을 강조했다. ‘위드 코로나’로 방역체계를 전면 전환하고 나서 돌파 감염 사례가 늘어나는 등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다른 유럽 국가도 부스터샷 의무화에 나서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최근 다음달 15일부터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부스터샷을 맞아야 ‘백신 여권’을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발표했다. 프랑스의 ‘백신 여권’은 한국의 ‘백신 패스’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프랑스는 식당, 술집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 시 백신 여권 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여권은 백신 접종자, 코로나19 회복자, 음성 확인자를 대상으로 발급된다.
오스트리아는 2차 접종 9개월 뒤 완전 접종 자격을 박탈해 부스터샷 독려에 나섰다. 이스라엘도 마지막 백신 접종 후 6개월이 지나면 백신 여권인 ‘그린 패스’를 만료시키기로 했다.
국제 보건 전문가들은 선진국의 부스터샷 의무화로 백신 불균형이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테워드로스 아브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지난 12일 저소득 국가 1차 접종보다 6배 많은 양의 부스터샷이 전 세계적으로 접종되고 있다며 “부끄러운 일”이라고 규탄에 나섰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건강한 성인에게 부스터샷을 제공하거나 아이들을 접종시키는 건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전 세계에는 여전히 첫 번째 접종을 기다리는 보건 종사자, 고령자, 고위험군 집단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부스터샷이 백신 가격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는 지적도 있다. 구호단체 옥스팜의 보건 정책 자문가 애나 매리엇은 “저소득 국가에 돌아간 백신은 전체 공급량의 1%도 안 된다”며 높은 백신 가격으로 아프리카 등 국가는 백신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