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내 집 마련’…광주형 평생주택 대폭 늘린다

입력 2021-11-17 14:14

광주형 평생주택과 ‘누구나집’ 등 장기 공공임대 공급이 확대된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아파트값을 잡기 위한 총력전이다.

광주시는 “상무지구 시범사업 460세대에 이어 첨단3지구에 2300세대의 광주형 평생주택을 추가 공급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광주형 평생주택 공급계획’에 따른 시범사업은 내년 상반기 도시철도 2호선 역과 가까운 옛 상무소각장 동쪽 나대지에 장기 공공임대로 착공한다.

공공임대 전국 최초로 4인 기준 1가족이 생활하기에 충분한 전용면적 84㎡ 중형 평형을 포함시켰다. 이 곳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기능, 녹색 뉴딜을 접목해 입주민 주거의 질을 높이게 된다.

집값 상승과 전세난을 덜기 위한 시범사업은 1370억여원을 들여 2024년까지 건립하는 데 전용면적 84㎡ 224세대, 59㎥ 176세대, 36㎥ 60세대 등이다.

시는 시범사업을 토대로 우수한 정주여건이 조성되는 첨단3지구에 내년부터 2300세대 추가 건립에 들어가 2026년까지 신혼부부와 다자녀 가구 등의 입주를 우선 마친다.

상무지구·첨단3지구 공공임대는 국·공립어린이집과 생활문화센터 등 일상생활에 긴요한 기반시설을 골고루 갖추되 소득 기준에 따라 시세보다 최대 40% 저렴한 임대료를 받는다.

시는 건축의 질 개선과 임대면적 확대에 따라 임대료는 일부 상향 조정하는 대신 ‘임대주택=저소득층 밀집지대’라는 부정적 낙인효과를 막기 위해 ‘소셜 믹스’ 단지를 조성한다고 설명했다.

청·장·노년 세대는 물론 다양한 계층이 어울려 함께 거주하도록 하는 것이다.

집값의 10%만 보증금으로 내면 입주하는 일명 ‘누구나집’ 750세대는 남구 에너지밸리에 들어선다. 시세 90% 안팎의 낮은 임대료로 10년간 거주한 후 ‘분양 전환’하는 신개념 공공지원 민간임대 방식이다.

주거안정 차원에서 추진하는 누구나집은 민간업체가 공공택지를 싸게 사들여 무주택자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제공한다. 입주 시점에 분양가를 사전 결정해 분쟁을 예방하고 시세차익은 사업자가 아닌 임차인이 갖게 된다.

시는 산정지구와 광주송정역 인근 KTX선도지구 등에서도 광주형 공공주택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국토교통부, LH 등과 구체적으로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9개 공원 10개 지구에서 아파트 건립을 전제로 진행 중인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구체적 내용을 내년 1월부터 홈페이지에서 모두 공개한다고 밝혔다.

대규모 신규 아파트 등 주택 공급 현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해 아파트 가격 인상을 부추긴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광주형 평생주택과 누구나집 등 최소한 1만8000세대 이상의 공공주택 공급을 통한 주거안정 대책이 추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주지역 주택보급률은 현재 107%에 달한다. 시는 광주형 평생주택과 민간공원 특례사업, 재개발·재건축 등이 마무리되는 2030년이면 주택보급률이 120%을 넘어서 안정적 주거 보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경제적 여력이 없는 서민들이 내 집 마련에 삶의 대부분을 허비하게 하는 것은 막아야 한다”며 “광주형 평생주택 등 공공주택 확대 공급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