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17일 곽상도 전 의원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국회에서 사직안이 가결된 지 6일 만에 곽 전 의원을 상대로 강제 수사에 착수한 것이다. 이른바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 규명을 위한 수사도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4차장검사)은 이날 오전 곽 전 의원 주거지 및 그가 사용하던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앞서 곽 전 의원 아들 곽병채씨는 지난 2015년부터 올해 초까지 화천대유에서 근무하다 퇴직했다. 곽씨는 퇴직금과 산업재해에 따른 위로금 등의 명목으로 50억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곽 전 의원은 의원직을 사퇴했다.
검찰은 곽씨 주거지를 지난달 압수수색하고 수차례 불러 조사했다. 곽 전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도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은 지난달 곽씨 계좌 10개를 동결했다.
검찰은 화천대유가 참여한 하나은행 컨소시엄 구성과 관련해 곽 전 의원이 도움을 준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최근 검찰은 당시 대장동 사업을 담당했던 하나은행 이모 부장도 수차례 불러 조사했다.
곽 전 의원은 국회에서 사직안이 의결된 지난 11일 블로그에 “아들이 받은 성과급과 관련해서 국민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저는 대장동 개발사업이나 화천대유와 관련해 어떤 일도 하지 않았고, 어떤 일에도 관여돼 있지 않다는 점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했다.
검찰은 곽 전 의원 외에도 ‘50억 클럽’ 의혹이 제기된 박영수 전 특별검사, 권순일 전 대법관을 상대로도 조사를 진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전 특검의 딸은 화천대유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대장동 미분양 아파트 1채를 분양받았다. 박 전 특검은 화천대유 고문을 맡았다.
권 전 대법관은 지난해 7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무죄 의견을 냈다. 대법관직에서 퇴직한 뒤 화천대유 고문을 맡아 월 1500만원가량 자문료를 받아 ‘재판거래’ 의혹이 불거졌다. 앞서 이 후보는 관훈클럽 토론에서 “권 전 대법관과 정말 일면식도 없다”고 했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