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가안보보좌관 “미·중 정상회담 후속 협력 분야에 북한 문제도”

입력 2021-11-17 04:36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미·중 정상회담 후속 협력 분야로 기후변화와 코로나19 대응, 북한과 이란 핵 협상, 대만 관련 긴장 완화 등을 꼽았다.

설리번 보좌관은 16일(현지시간)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화상 정상회담 다음 단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양국의) 가드레일 보장을 위한 관여의 강화를 다양한 수준에서 보게 될 것”이라며 “몇 가지 범주가 있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그중 하나로 기후변화와 코로나19 대응을 꼽았다. 그는 “코로나19 기원과 관련한 투명성 문제에 대해 여전히 매우 현실적인 의문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우리는 앞으로 몇 달 안에 팬데믹을 이겨야 하며, 이를 위해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국제 사회가 모두 글로벌 백신 접종에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두 번째로 이란과 북한의 핵 문제를 언급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란 핵 문제와 관련해 협상가들이 이달 말 오스트라 빈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이란과 ‘P5+1’이 연합할 수 있도록 이야기하고,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로 복귀하는 길을 닦고 있다”고 했다. ‘P5+1’에는 미국과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이 참여하고 있다. 핵무기 개발 노력 중단 대가로 경제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이다. 이란은 지난 4월부터 핵 합의 복원을 위한 협상을 진행해 왔지만 지난 6월 잠정 중단됐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어 “우리는 북한이 일련의 (미사일) 시험을 하는 것을 봐왔다. 북한이 똑같이 준비돼 있다면 미국은 선의와 외교로 관여할 준비가 돼 있음을 알려왔다”며 “이 문제에 관한 (미·중의) 조율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또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 문제를 거론하며 “잘못된 의사소통을 피하는 명확한 의사전달이 업무의 중요하고 집중적인 측면이 될 것”이라며 “국가안보회의(NSC)와 외교관, 군대 등 여러 수준에서 가드레일을 확인하기 위한 참여 강화를 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상회담 이후 후속 조처로 다양한 채널의 관련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설리번 보좌관은 중국의 핵과 미사일 증강에 관한 질문이 나오자 “전날 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전략적 안정화에 관한 일련의 대화 필요성을 제기했고, 시 주석은 논의를 이어가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핵무기 감축 분야 논의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다.

설리번 보좌관은 “양국 정상은 글로벌 에너지 공급과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과 중국이 협력할 방법을 포함해 세계 경제회복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게 하는 문제에 대해 신속하게 협의하도록 팀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쿼드 정상회의, 오커스(AUKUS) 출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글로벌 최저법인세율 추인, EU와의 철강 협상 등을 언급하며 이를 “‘21세기의 도로의 규칙’을 만들기 위해 뜻이 같은 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 및 일본과의 동맹을 강력하게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