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후폭풍’ 산업계에 부나… 석화업계, 질소산화물 기준 완화 요청

입력 2021-11-16 17:32 수정 2021-11-16 17:38
지난 15일 오후 경기도 평택의 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트럭들이 요소수를 넣기 위해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발 요소수 사태가 길어지면서 석유화학업계가 정부에 질소산화물 배출 허용기준을 완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요소수 부족으로 공장 가동이 중단될 수 있어서다. 요소수 사태의 여파가 산업계 전반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석유화학협회는 지난 11일 산업통상자원부 공급망 안전 점검회의에서 질소산화물 배출 허용 기준을 완화하거나 기준 초과 시 행정처분을 유예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16일 밝혔다. 석유화학협회는 LG화학, 롯데케미칼, 금호석유화학, 한화토탈, 효성화학, GS칼텍스, 에쓰오일, 여천NCC, 대한유화, DL케미칼 등을 회원사로 두고 있다.

석유화학의 여러 공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굴뚝으로 배출할 때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에 산업용 요소수가 쓰인다. 요소수는 질소산화물을 물과 질소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부는 공장 등을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로 분류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 규제를 두고 있다. 현재 석유화학 업체들이 보유한 산업용 요소수 재고는 1~2개월 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가 질소산화물 규제를 선뜻 완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환경단체들도 다른 방안을 찾지 않은 채 요소수 사태를 계기로 석유화학업체들의 질소산화물 배출기준을 완화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요소수를 쓰는 다른 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한다. 제철소, 화력발전소 등에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건설업계는 굴착기, 휠로더 등 대부분 건설장비가 디젤 엔진을 쓰고 있어 요소수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까 우려한다. 택배·물류업계도 물류대란 불안감이 잠재해 있다.

정부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땜질 처방’이라는 비판도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는 16일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 사용하는 방안과 관련해 추가적인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