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4일 “문재인정부는 청년정책의 본격 추진을 위한 뼈대를 세우고 제도화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 정부의 청년정책이 두 걸음 더 나아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 수석은 이날 페이스북에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 24번째 시리즈를 올리고 “문재인정부의 청년정책은 역대 정부와 대비했을 때 일자리정책을 포괄해 청년의 삶 전반을 보듬는 보편적, 포괄적 정책으로 전환했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은 현 정부의 청년정책 성과를 차례로 열거했다. 문재인정부는 지난해 2월 최초로 청년기본법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청년과 청년정책의 개념이 법적으로 명문화됐다. 이번 정부 들어 범정부 청년정책 컨트롤타워인 ‘청년정책조정위원회’가 출범했고, 청년정책추진단과 청와대 청년비서관도 신설됐다.
박 수석은 “그동안 청년정책이 고용 문제에 집중돼 청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는 데 미흡했다”며 “문재인정부는 최초로 청년정책 비전과 방향 및 일자리·주거·교육·복지·문화 분야별 중점과제 등을 담은 제1차 청년정책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미래 청년정책의 초석을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박 수석은 308개의 청년정책 시행계획 사업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도 함께 소개했다. 그러면서 국민취업지원제와 청년내일채움공제 등을 체감형 청년정책의 대표 사례로 제시했다.
박 수석은 문 대통령이 ‘90년생이 온다’와 ‘90년생 공무원이 왔다’라는 2권의 책을 청와대 직원들에게 선물하며 남긴 메시지도 소개했다. 박 수석은 “문 대통령이 ‘새로운 세대를 알아야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 그들의 고민도 해결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함께 적었다”며 “청년정책 감수성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박 수석은 자화자찬이라는 비판과 관련해선 “청년의 어려움을 생각하면 문재인정부의 청년정책을 설명하는 것이 자칫 물정 모르는 소리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면서도 “우리의 노력과 현실이 이렇다는 것을 정확히 정리해야 다음 정부의 출발점이 정해질 수 있다는 진심에서 이 글을 기록한다”고 밝혔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