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모습 드러낸다’…정부지원 받는 ‘메가시티’ 지자체들 속도전

입력 2021-11-14 14:39

지방소멸 위기를 맞은 지방자치단체들이 활로를 찾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메가시티’가 정부라는 든든한 지원군을 얻어 더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이르면 내년에 전국 첫 메가시티의 탄생을 볼 수도 있다.

14일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메가시티는 부산·울산·경남이 가장 속도를 내고 있다. ‘부·울·경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은 지난 10일 단장회의를 열어 산업·경제, 교통·물류, 문화·관광, 재난·환경, 교육, 보건·복지, 먹거리를 부·울·경 특별지자체의 수행사무로 정했다.

합동추진단은 특별지자체 출범을 위해 지난 7월 구성된 조직이다. 특별지자체는 2개 이상의 지자체가 광역사무를 함께 처리하기 위해 만드는 공공단체다. 현행법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부·울·경은 내년에 전국 최초 특별지자체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경북 역시 앞서 추진하던 행정통합을 장기과제로 전환하고 먼저 실시가 가능한 특별지자체를 추진 중이다.


대구·경북과 부·울·경은 영남권 초광역협력도 추진 중이다. 최근 영남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는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 청사진도 제시했다.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는 ‘대륙과 해양을 잇는 동아시아 거점 도시’를 목표로 한다. 광역철도망과 도로망을 구축해 영남권 거점도시 간 1시간 생활권을 조성하고 바이오헬스, 자율주행, 수소, 관광 등 미래신산업을 함께 육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구·경북과 부·울·경은 ‘대구경북 행정통합’과 ‘동남권 상생발전’이라는 이름으로 각각 메가시티를 추진하고 있었는데 지난해 8월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가 구성되면서 5개 시·도가 손을 잡게 됐다. 대구·경북과 부·울·경이 각각 추진하는 메가시티를 그대로 진행하면서 영남권 초광역협력도 동시에 추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충청권 메가시티도 순항하고 있다. 충청권은 지난해 11월 메가시티 추진에 합의하고 현재 전략수립 용역을 진행 중이다. 대전·세종·충북·충남이 분야별 추진전략과 공동 협력사업 등을 단계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충청권 지자체들은 국토의 중심부이자 우수한 혁신 인프라를 보유한 지역의 강점을 살려 행정수도와 혁신도시를 완성할 계획이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주력산업 초광역 클러스터 구축, 미래 신산업 테스트베드 구축, 탄소중립 대응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초광역 교통인프라 구축이라는 4대 핵심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교통인프라 확충을 통해 거점도시 30분, 전 지역 50분으로 연결되는 ‘5030 생활권’도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 2일 대전·세종·충북·충남 관계자들이 모여 충청권 메가시티 등 지역발전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광주·전남에서 메가시티가 추진되는 등 전국에서 초광역 협력이 생존을 넘어 지방을 다시 살릴 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중앙정부도 메가시티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분위기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정부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전국 17개 광역시·도 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균형발전 성과와 초광역협력 지원 전략보고회’에서 초광역협력을 새로운 균형발전 전략으로 삼겠다는 뜻을 밝혔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도 정부 방침에 따라 초광역협력 지원의 법적 근거와 재정지원 체계 등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 주도 초광역협력 활성화를 위한 범정부 통합지원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