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50억 클럽’ 정조준…곽상도 소환 임박 관측

입력 2021-11-11 20:24 수정 2021-11-11 20:26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의 칼날이 이른바 ‘50억 클럽’ 로비 의혹에 연루된 정계·법조계 인사를 정조준하고 있다. 검찰은 화천대유로부터 아들 퇴직금 등 명목으로 50억원을 받은 곽상도 의원을 조만간 불러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곽 의원의 사직안이 통과되면서 검찰은 현직 의원 수사라는 부담을 덜었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소환 일정 등이 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최근 대장동 민간 사업자와 하나은행 관계자 등을 조사하며 곽 의원이 ‘화천대유·하나은행 컨소시엄’(성남의뜰) 무산 위기 상황에서 도움을 줬다는 의혹을 파고드는 중이다. 천화동인 5호 소유주 정영학 회계사 등에게서 ‘곽 의원이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구속)씨 부탁을 받고 하나은행 측에 연락해 컨소시엄이 유지되도록 도움을 줬다’는 진술도 확보한 상태다.

검찰은 곽 의원 아들 병채씨가 화천대유로부터 받은 50억원을 컨소시엄 구성의 대가로 의심하고 있다. 다만 대가성 입증이 까다로운 뇌물죄 대신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곽 의원은 이르면 다음주 중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 조사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이와 함께 ‘50억 클럽’ 의혹에 거론된 박영수 전 특검 수사에도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검찰은 최근 대장동 민간사업자 등을 조사하며 2015년 1~2월 정 회계사와 성남도시개발공사 전략사업실장을 지낸 정민용 변호사가 서울 서초구에 있는 박 전 특검의 로펌 사무실에서 여러 차례 만나 대장동 사업 공모지침서 내용 등을 논의한 단서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당시 두 사람이 성남도시개발공사의 대장동 개발이익 규모를 1822억원으로 제한하는 등의 ‘7개 필수 조항’을 논의하고, 이 내용이 김씨를 통해 유동규(구속 기소) 전 공사 기획본부장에게 전달했다고 의심한다. 검찰은 이러한 공모지침서 등이 유 전 본부장과 김씨, 남욱 변호사(구속) 등의 배임 혐의를 뒷받침할 핵심 근거로 보고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이다. 박 전 특검 측은 “당시 그런 회의가 있었는지 전혀 모른다”고 해명했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2월 화천대유 설립 시점에 월 1500만원 고문료를 받는 상임고문으로 임명됐다. 그의 딸도 화천대유에 근무하면서 회사 보유 물량 대장동 미분양 아파트 1채를 분양받았다. 박 전 특검 로펌 소속 조모 변호사는 천화동인 6호 대표를 맡았다. 박 전 특검이 대장동 사업 초기부터 관여한 게 아니냐는 것이 검찰의 의심이다.

한편 이번 사건의 핵심 피의자인 김씨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건강상 이유로 소환 조사에 불응했다. 검찰은 구속 기한 만료일(22일)이 임박한 점 등을 고려해 김씨가 수감 중인 서울구치소를 방문 조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