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시가 두 차례 지급한 코로나19 긴급 재난생활비가 시민들의 활력적인 일상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광양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차 지급보다 5만원 상향된 1인당 25만원을 올해 재난생활비로 지급했다. 이로써 광양시민은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과 더불어 최대 50만원의 비교적 넉넉한 지원금 혜택을 받았다.
시의 재난생활비는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으로 발길을 돌렸던 식당과 카페, 노래연습장에 활력을 줬다. 당연히 지역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광양시는 이처럼 어려운 시민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전남 최초로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긴급재난생활비를 지급하는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 효과를 봤다고 평가했다.
지원 결정부터 지급개시까지 한 달여 소요된 신속한 지급과 신청 즉시 수령, 찾아가는 민원창구 운영 등 시민 편의책을 시행해 높은 만족도를 끌어냈으며, 소상공인 매출이 11% 증가 회복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 면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냈다.
올해 지급된 광양시 2차 긴급재난생활비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소득·나이 등 지급 대상 선별 없이 기준일(2021년 6월 30일) 이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광양시에 주민등록을 둔 모든 시민에게 지급했다.
지난 1차 지급 시와 달리 필요한 곳에 계획적으로 소비하려는 ‘스마트 소비’ 성향이 대두된다는 분석이 나옴으로써 어려운 시민 생활 안정에 실질적으로 기여코자 한 광양시의 목표도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긴급재난생활비 지급을 위한 소요 예산 379억원 전액을 시비로 충당해 광양시의 건전한 재정 운용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기도 했다.
광양시 2차 긴급재난생활비는 지난 10월 29일 14만8743매 배부로 지급률 99.2%, 371억8600만원 지급으로 성황리에 마무리했으며, 31일 기준 누적 사용액은 324억1400만원, 사용률 87.2%이다.
앞서 시는 올해 2차 긴급재난생활비 배부 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강화를 위한 보완책을 마련해 ‘신속한 지급’과 ‘안전한 지급’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했다.
시민 편의 제공을 위해 아파트 경로당·마을회관 등에서 운영한 ‘찾아가는 민원창구’의 운영 기간·장소를 작년 1차 지급 시보다 확대하고, 신청 요일제(아파트의 경우 동별로 신청요일 분배)를 새롭게 적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급개시 5일 만에 지급률 90%를 달성했으며, 1차 지급 시보다 인구밀집도가 크게 완화돼 코로나19 감염원 발생 우려를 차단함과 동시에 대기시간도 크게 감축돼 시민 만족도가 크게 증가했다.
광양시에서 올해 긴급재난생활비 지급을 시작한 시기도 눈여겨볼 만하다.
시는 지난 8월 24일 지급을 시작해 추석 연휴 시작 전인 9월 17일 누적 지급 148,124매, 지급률 98% 달성으로 370여억 원을 시중에 풀었으며, 이중 추석 연휴 기간이 끝난 9월 23일 기준 사용액 257여억 원으로 사용률 70%를 기록했다.
광양시 관계자는 "두 차례에 걸쳐 긴급재난생활비를 지급함으로써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 속에 시민의 어려움을 함께 공감하고 포용하려는 의지를 정책적 실행력으로 표출했다"면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접어든 지금, 광양시가 앞서 증명된 발 빠른 위기 대처 능력으로 어떤 나비효과를 불러일으킬지 많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광양시는 긴급재난생활비를 비롯한 광양사랑상품권 카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시정 운영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률 90%를 초과하는 대로 연구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광양=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