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금융기관에 임대료 75% 지원…금융허브 노리는 서울시

입력 2021-11-11 16:12

아시아의 금융허브였던 홍콩의 위상이 흔들리는 가운데 서울이 글로벌 톱5 금융도시를 목표로 글로벌 금융기관 유치 작업에 착수했다.

서울시는 2026년까지 2418억원을 투입해 해외금융기관 유치에 돌입하는 내용의 ‘아시아 금융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11일 발표했다. 우선 내년에 서울산업진흥원(SBA) 내 인베스트서울센터 기능을 대폭 확대하고 명칭도 ‘서울투자청’으로 변경한다. 서울투자청을 통해 유치한 기업에는 사무공간·임대료·컨설팅·언어·생활 지원을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시는 2024년 서울투자청을 출자기관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또 서울국제금융오피스를 내년 여의도에 추가로 개관해 해외 금융기관에 최장 5년까지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최대 70% 임대료를 지원한다. 2025년에는 여러 시설에 나눠져 있는 금융산업 지원 기능을 한데 모은 서울디지털금융지원센터도 연다. 정부 및 국회와 협력해 여의도를 금융특구로 지정하고, 외국인학교 유치 등 주거 여건 개선작업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도 확대한다. 고용보조금은 현재 5000만원에서 최대 2억원으로, 외국인 투자지역 지정시 임대료 지원 비율도 현재 50%에서 최대 75%로 높이는 방안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주 52시간 규제, 법인세 감면 등 정부의 법·제도 개선을 기다리기 이전에 서울시 차원에서 시비로 지원 가능한 부분은 과감하게 확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이런 노력을 통해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올 3분기 117억달러에서 2030년 300억달러로 세 배 가까이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서울 소재 외국계 금융기관도 100개사를 추가 유치해 250개사 이상으로 확대하는 게 목표다.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금융 대전환의 시대에 발 빠르게 대응해 서울의 금융산업을 육성하고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이를 위해 “중앙정부, 국회 등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