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업계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과 규제 완화를 촉구했다.
웨이브, 티빙, 왓챠 등이 모인 한국 OTT협의회는 11일 ‘OTT진흥법, 시장 다 내 주고 나서 통과시킬 건가’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한국 OTT가 제대로 성장해 해외로 진출하고 국내 콘텐츠 산업에 기여하려면 기본적인 지원 정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세계 미디어 시장이 OTT를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다”며 “막강한 가입자와 자본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 제패를 노리는 글로벌 미디어들은 국내 미디어 산업에도 치명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넷플릭스, 유튜브 등으로 충격을 받은 한국 미디어 산업에 디즈니플러스가 가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내 OTT 플랫폼의 유의미한 성장이 없다면 미디어 산업의 균형 발전도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업계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 처리, OTT 영상물 사전심의 제도의 자율 등급제 전환, 국내 사업자에 대한 역차별 해소 등을 요구했다.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은 OTT에 특수 유형 부가통신사업자 지위를 부여해 콘텐츠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영상물 사전심의 제도를 자율 등급제로 전환할 경우 긴 심의 기간 탓에 콘텐츠 제공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게 협의회의 주장이다.
더불어 협의회는 “망 이용료를 둘러싼 국내외 사업자 간 역차별은 기본 사업모델은 물론 콘텐츠 투자 재원 확보에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불공정 경쟁환경을 초래한다”며 “국내에서 막대한 수익을 내면서도 이를 해외 매출로 돌려 제대로 납세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글로벌 미디어에 대한 강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