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형 공공보건의료의 미래는…대전의료원 설립 포럼 개최

입력 2021-11-11 14:08
11일 대전동구청에서 열린 '대전의료원 설립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의료원의 성공적인 설립과 ‘대전형 공공보건의료’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

대전시는 11일 대전동구청 대강당에서 ‘대전의료원 설립 포럼’을 개최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의 대전의료원 사업계획 설명에 이어 전문가들의 발제와 토론 등이 이어졌다.

대전의료원 설립 사업은 최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위원회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과하며 행정절차가 사실상 마무리됐다. 1996년 대전시립병원 설립계획이 발표된 이후 무려 25년만이다.

포럼 첫 세션에서 허 시장은 대전의료원 사업개요 및 향후계획을 설명하며 앞으로 달라질 대전 공공의료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는 “지역·계층·분야에 관계없이 시민이라면 누구나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의료의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라며 “앞으로 경제적 이유때문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시민이 없도록 하고, 스마트 병원 시스템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실현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의료원 설립을 위해 25년간 함께해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공공보건의료전문가들이 참여한 두 번째 세션에서는 국내 지방의료원의 운영 현황과 발전방안, 대전시 공공보건의료 실태 분석, 지방의료원 설립 전략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자로 나선 안순기 대전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은 대전의료원이 공공성·수익성이 균형잡힌 병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단장은 “감염병 등 보건의료위기 대응 역량을 기초로 양질의 진료와 협력 진료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며 “지역 책임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영역에 대한 책임성을 확보하고 충남대병원과의 협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흥훈 국립중앙의료원 기획운영실장은 공공병원을 위한 기본예산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응급 및 심·뇌혈관질환, 외상 등의 긴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의료인력의 존재 여부는 국민 생명과 안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며 “공공병원에 대한 기본예산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대전의료원은 연면적 3만3148㎡에 부지면적 3만9163㎡, 총 병상 수는 319병상 규모다. 대전 동구 용운동 11번지 일대에 들어설 예정이며 175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시는 내년 상반기 의료·운영체계 용역을 실시하는 한편 하반기에 기획설계를 발주한다는 계획이다. 2024년 첫 삽을 뜬 뒤 2026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된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