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독감처럼 매년 맞을까… 정례화 검토

입력 2021-11-11 09:44 수정 2021-11-11 11:09

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매년 정례화하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11일 정부가 부처 합동으로 마련해 원내 4개 정당에 전달한 ‘정부 주요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자료집에 따르면 질병청은 코로나19를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이 국가필수예방접종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인플루엔자의 경우 올해 만 65세 이상 어르신, 생후 6개월 이상부터 만 13세 이하 어린이, 임신부는 국가 필수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자로서 무료로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질병청은 장기적으로 국가 예방접종 도입 우선순위를 정하고, 예방접종 전문위원회 검토를 거쳐 국가 필수예방접종 백신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국가 예방접종 사업 과제로 인플루엔자 접종 대상자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단기적으로는 올해 전체 인구의 80% 이상 코로나19 예방접종 완료를 목표로 추가접종(부스터샷)을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일반 국민 확대 여부는 연구 결과와 해외 사례 등을 보며 검토하고 있다.

지난 10월 31일 기준 18세 이상 인구의 약 509만명에 달하는 미접종자에 대해선 이상반응 대응 강화 및 지원 확대, 정보 제공, 인과성 판정 별도 기구 설치 검토, 지자체별 접종계획 수립,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연계 제도 검토로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12세 이상으로 확대한 예방접종 연령도 5~11세 아동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중기 과제로 선정했다.

질병청은 임시조직인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을 대체하는 전문 공공기관을 신설하고, 감염병예방법을 개정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백신 유통과 이상반응 조사, 피해보상 등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게 목표다.

백신 치료제 개발을 위해 단기적으론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R&D) 연계·협력 체계를 위한 ‘감염병 연구기관 협의체’ 구성도 추진한다.

장기적으론 감염병 임상연구를 총괄하는 가칭 ‘임상연구센터’ 등을 확충하고 공익적 임상연구 지원체계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