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에게 막혀 참배단까지 가지 못한 채 도중에 멈춰 서 참배하고 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에게 둘러싸인 채 추모탑으로 향하고 있다.
“제 발언으로 상처받으신 모든 분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에게 막혀 참배단까지 가지 못한 채 도중에 멈춰 서 참배한 뒤 ‘전두환 옹호 발언’에 대해 사과했다.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이 추모탑 앞에서 손팻말을 들고 있다.
이날 묘역의 추모탑 앞에서는 오전부터 윤 후보의 참배를 반대하는 광주시민들이 손팻말을 든 채 자리를 잡았다. “가짜 사과 필요 없다”, “학살자 비호 국민 기만” 등 윤 후보에 대한 감정이 고스란히 적혀 있었다.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이 추모탑 앞에서 손팻말을 들고 있다.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취재진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이 뒤엉켜 있다.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의 손팻말이 바닥에 줄지어 놓여있다.
예정된 방문 시간보다 늦은 4시 20분쯤 윤 후보가 도착하자 항의하는 목소리와 지지하는 목소리가 묘역을 가득 채웠다. 비가 내리는 가운데 취재진, 광주시민, 경호 인력 등이 뒤섞여 한참 동안 윤 후보는 전진하지 못했다. 결국, 참배단을 50m가량 앞에 둔 채 고개를 숙였다.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방문에 항의하는 시민들이 윤 후보의 참배를 막아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방문에 항의하는 시민들이 윤 후보의 참배를 막아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윤 후보는 “제가 대통령이 되면 슬프고 쓰라린 역사를 넘어 꿈과 희망이 넘치는 역동적인 광주와 호남을 만들겠다”며 “여러분께서 염원하시는 국민통합을 반드시 이뤄내고 여러분께서 쟁취하신 민주주의를 계승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또 “40여 년 전 5월 광주 시민들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피와 눈물로 희생한 것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고 밝혔다.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이 윤 후보가 참배를 마치고 나서자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며 이동하고 있다.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방문을 항의하는 시민들이 윤 후보가 참배를 마치고 나서자 묘역 상공에 무지개가 떴다.
윤 후보가 추모탑에 닿지 못한 채 발길을 돌리자 광주시민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공교롭게도 윤 후보의 참배 시도가 끝나자 비가 그치고 묘역 상공에 무지개가 떴다. 윤 후보의 사과는 광주시민들에게 와 닿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