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 등을 앞세워 신규 원자로 건설을 추진한다고 로이터통신이 9일(현지시간) 전했다.
마크롱은 이날 대국민 TV 연설에서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국내 원자로 건설을 재개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를 계속 개발할 것”이라며 “에너지 가격을 합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신규 원자로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프랑스의 에너지 자립과 전력 공급을 보장하고 우리 목표, 특히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이터통신은 “마크롱 대통령이 세부 사항을 밝히지 않았지만 정부는 앞으로 몇 주 안에 최대 6개의 새로운 가압수로 건설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올해 초 프랑스 국영 에너지기업 EDF는 신규 원자로 6개를 건설하는 계획의 타당성 조사 결과를 정부에 제출했다. 정부는 지연된 EDF 원자력발전소가 완공될 때까지 새로운 유럽 가압수형 원자로(EPR) 프로젝트를 시작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통신은 “유럽이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프랑스는 (원전 탈피에 나선) 독일 같은 이웃나라와 다른 길을 가고 있다”고 해설했다.
마크롱이 내년 4월 재선 도전을 노리고 에너지 대란을 명분으로 원전에 대한 입장을 바꿨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는 2017년 취임하면서 원전 에너지 의존도를 75%에서 2035년까지 50%로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환경운동단체 그린피스 활동가 니콜라 나스는 “너무 비싸고, 너무 느리고, 너무 위험한 원전은 기후위기 비상상황에 더 이상 쓸모가 없다”며 마크롱이 원전으로 선거운동을 한다고 비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